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경제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경제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전세계의 경제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제목 | 요약내용 |
IBK투자증권 | [IBKS Economy Monitor] 트럼프발 관세전쟁, 우선 주목해야 할 부담은 환율 | * 트럼프발 관세전쟁으로 인해 환율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며, 특히 중국 위안화 움직임에 주목해야 함 * 미국의 관세 부과는 미 달러 강세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상대국 통화는 절하되는 경향이 있음 * 중국은 보복 관세와 WTO 제소 외에도 위안화 절하를 통해 대응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과거 트럼프 1기에도 활용된 전략임 * 위안화 절하가 본격화되면 원화 역시 절하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음 * 원화 환율 상승은 국내 기업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특히 수출기업들은 손익분기 환율을 1,300~1,350원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어 환율 안정이 중요한 정책 과제로 부각됨 |
키움증권 | 02/07 Weekly Macro |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가 한 달 유예됨 *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 수준 유지 예상, 근원 CPI 상승률은 소폭 둔화 전망 * 연준 의장이 상원 위원회에서 반기 통화정책 보고 예정,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입장 유지 가능성 *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0% 증가 전망, 자동차 및 가스 제외 소매판매는 0.3% 증가 예상 * 유로존 GDP 성장률은 전년 대비 0.9% 예상, 산업생산은 전년 대비 0.2% 감소 전망 |
키움증권 | 02/07, Kiwoom Morning Letter | * 코스피는 2,536.75포인트로 마감하며 1.1% 상승, 외국인은 3,556억원 순매수, 개인은 6,060억원 순매도 * 미국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 예상, 근원 CPI 상승률은 3.1%로 둔화 전망 * 6일 WTI 유가는 배럴당 70.61달러로 하락, 미국 원유 재고 증가와 생산 확대 기대가 원인 * 달러/원 환율은 1,447.70원으로 상승 마감, 미·중 관세 현실화 이후 협상 소식 부재로 달러 강세 지속 * 연준 의장은 반기 통화정책 보고에서 금리 인하보다 데이터 의존적 접근 유지할 가능성 높음 |
다올투자증권 | Market Weekly Check ME up! | * 미국 연준은 물가 상승 둔화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보다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음 * 1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 전망, 근원 CPI는 3.1%로 둔화 예상되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주목됨 * 원유 시장은 미국 원유 재고 증가와 사우디의 수출 가격 인상 등 상반된 요인이 작용하며 변동성 확대 가능 * 코스피는 외국인 순매수 증가로 2,536.75포인트 마감, 기관도 1,612억원 순매수하며 상승 흐름 지속됨 * 달러/원 환율은 1,447.70원으로 상승 마감, 미·중 관세 전쟁 재점화 가능성이 시장에 불확실성으로 작용 |
대신증권 | 금리는 변곡점을 지났는가 |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를 다시 하회하며,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시장에서 주목받는 중 * 1월 미국 고용지표가 둔화될 경우, 연준의 금리인하 명분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 변동성 확대 예상 * 미 신정부는 연방정부 인력 감축 계획을 추진 중이며, 주요 기업들의 해고 발표도 고용시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 * 중국과의 관세 이슈가 재부각될 경우, 물가 상승 요인과 경기 하방 위험을 동시에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 1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 전망, 근원 CPI는 3.1%로 둔화되며 물가 안정 흐름 지속될 가능성 높음 |
하나증권 | 트럼프의 전략적 관세 전쟁 | * 미국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일시적으로 완화 * 트럼프 정부는 관세 부과 대상을 EU, 반도체, 철강, 의약품 등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압박 지속 * 미국의 주요 수입국은 멕시코(15.5%), 중국(13.4%), 캐나다(12.7%) 순이며 EU가 다음 타깃이 될 가능성 높음 * 한국은 미국의 10대 무역 적자국 중 8위로,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수출 품목이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 존재 *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은 대미 수출 비중이 19%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협상 여지가 제한적 |
(네이버 증권 - 경제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10.(월) (0) | 2025.02.10 |
---|---|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7.(금) (0) | 2025.02.09 |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6.(목) (1) | 2025.02.08 |
(네이버 증권 - 경제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6.(목) (0) | 2025.02.08 |
(증권사 리포트 매일 훑어봅시다) 네이버 증권에 올라오는 산업분석 리포트 - 2024. 12. 19.(목) (1)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