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종목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주가흐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종목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특정 주식의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종목 | 리포트 제목 | 요약내용 |
한화투자증권 | DB손해보험 | 경상 체력이 가장 우수한데, 저평가 | * DB손해보험의 4Q24 순이익은 1,943억원으로 예상보다 큰 부진을 기록하며, 보험손익 부문에서 비경상 손실이 발생했음 * DB손해보험은 상위 보험사들 중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과 낮은 PER을 기록하고 있으며, 여전히 저평가 상태임 * 2025년에도 경상 체력이 우수할 전망이며, 보험 부문에서의 성장과 마진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신한투자증권 | DB손해보험 | 밸류업 공시 임박 | * DB손해보험은 2025년 2월 28일 이사회 이후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며, 자사주 매입 및 배당성향 35% 목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임 * 2024년 4분기 순이익은 1,943억원으로 전년 대비 25.6% 감소했으나, 주주환원 및 밸류업 공시 등을 통해 주가 상승 모멘텀 확보가 기대됨 * K-ICS 비율은 2025년 210%, 2028년 218%로 예상되며, 추가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안정적인 자본 관리와 배당성향 유지가 이루어질 계획 |
미래에셋증권 | DB손해보험 | 안정적인 배당성향 상승 기대 | * DB손해보험은 최근 1년간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등급 비율에서 매수 의견이 84.62%를 차지함 * 투자등급 비율은 매수 84.62%, 중립 7.14%, 매도 8.24%로 나타나며, 현재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고 있음 * DB손해보험은 안정적인 배당성향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 있음 |
SK증권 | DB손해보험 | 제도 영향에도 여전히 상위권의 효율 지표 지속 | * DB손해보험은 4Q24 순이익이 1,9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6% 감소하였으며, 이는 장기보험 손익과 투자 손익 부진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 * K-ICS 비율은 201.5%로 하락했으나,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안정적인 자본비율이 유지될 전망이며, 신계약 환산배수와 관련된 긍정적인 개선이 예상됨 * 1Q25에는 보험료 인상과 LA 산불 관련 손실이 예상되나, DB손해보험은 향후 회복을 전망하고 있으며, 5년 내 배당성향을 35%까지 확대할 계획 |
키움증권 | DB손해보험 | 주주환원 계획 발표된다면 큰 폭의 주가 상승 기대 | * DB 손해보험은 4분기 순이익 1,943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23% 하회, 예실차손익과 손실부담계약비용이 주요 원인 * 연간 순이익은 15% 증가하여 1조7,722억원을 기록, 신계약 CSM과 K-ICS 비율 하락이 실적에 영향을 미침 * 2월말 이사회에서 주주환원 계획과 자기주식 처분 여부가 결정되면 주가 상승 모멘텀이 될 것으로 예상 |
하나증권 | HL홀딩스 | 강화된 주주환원정책 | * HL홀딩스는 강화된 주주환원정책을 발표, 2025년 배당수익률 5.6%, 자기주식 소각 292억원 예상 * 2025년 주주환원정책은 매년 2,000원 배당 및 1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매입/소각 유지, 특별 소각도 추가 * HL홀딩스의 2025년 매출액은 1.34조 원 예상, 산업수요 둔화에도 영업이익률은 전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 |
키움증권 | SCL사이언스 | 검진 사업 기반 새로운 기업으로 거듭나기 | * SCL사이언스는 이노테라피 인수 및 SCL헬스케어와의 합병을 통해 사업 모델을 변경하고 2025년 중반부터 연결 실적 반영 * SCL사이언스는 기존 지혈제 사업을 유지하며 바이오 물류, 디지털 플랫폼, C-Lab 검사 등의 신규 사업 확장 * 2025년 매출액은 268억 원 예상, AI 기반 의료 데이터 분석과 신약 개발 등의 중장기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음 |
교보증권 | 네오위즈 | NDR 후기: 명확한 전략 방향성 | * 'P의 거짓' 게임이 DLC 출시와 함께 IP 프랜차이즈화 시작, 2025년 2Q부터 꾸준한 성과가 예상되며, 팬덤 형성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됨 * 네오위즈는 스토리 중심의 PC/콘솔 게임 5종 이상을 개발 중이며, 새로운 퍼블리싱 계약으로 추가 성장 동력을 확보할 예정 * 목표주가 28,000원 유지, 비용 통제 기조와 웹보드 및 모바일 게임의 견조한 매출 유지로 중장기 성장 전망 |
키움증권 | 대원제약 | 제약, 건기식, 화장품까지 아우르기 시작 | * 대원제약은 4Q24 실적에서 매출액 1,451억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급락, 자회사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실적 부진을 보임 * '펠루비'와 '코대원포르테' 등의 주요 제품은 호흡기 질환 유행에 따라 판매가 증가하였으며, '펠루비에스' 출시로 매출 성장이 지속될 전망 * 2025년에는 자회사 구조조정 마무리와 함께 실적 개선을 예상하며, 매출액 YoY 12% 증가 및 OPM 6% 목표를 제시함 |
iM증권 | 디오 |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및 주주환원 확대 가속화 | * 디오는 지난해 4분기 매출 378억원을 기록하며 23.1% 성장,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되었음 * 2025년 디오는 중국, 인도, 튀르키예 등 해외 매출 성장이 가속화되며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 * 디오는 자사주 취득 및 소각을 통해 주주환원 확대를 가속화하고,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으로 주가 상승이 예상됨 |
키움증권 | 비아이매트릭스 | AI 혁명의 진짜 수혜주 | * 비아이매트릭스는 AI 기술을 통해 BI 솔루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주요 기업들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임 * 2025년 매출은 446억원으로 4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솔루션 매출은 약 90억원으로 129% 성장할 것으로 보임 * 동사는 글로벌 BI 트렌드에 부합하는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미국 등 해외 시장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임 |
iM증권 | 삼화콘덴서 | 올해 전력 인프라 FC, 내년 전기차 DC-Link 성장성 가속화 | * 삼화콘덴서의 2025년 실적은 전방산업 회복에 따라 매출액 3,197억원과 영업이익 283억원으로 예상되며, MLCC 출하량 증가로 실적 개선이 예상됨 *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로 FC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전력설비 투자 확대 정책에 힘입어 성장 지속될 전망 *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확대로 DC-Link Capacitor 수요가 증가하며, 2023년부터 전기차 구동 인버터용 DC-Link Capacitor 납품 확대가 본격화될 것임 |
유진투자증권 | 상아프론테크 | 배터리 부품 부진에도 소재 사업 성장으로 흑자 유지 | * 상아프론테크는 배터리 부품 부진에도 특수 소재 사업 성장으로 영업이익을 유지하며, 소재 사업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음 * 자율주행과 6G용 저유전체 소재의 상용화가 진행됨에 따라 소재 사업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아짐 *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30,000원으로 하향 조정됨, 현주가와의 괴리율을 반영한 결과 |
DS투자증권 | 씨에스윈드 | 어려운 환경에도 성과를 내는 중 | * 씨에스윈드는 2025년 매출액 3.0조원과 영업이익 3,068억원을 예상하며, 타워 부문에서 큰 성장이 기대됨 * 미국과 베트남 등 주요 생산시설에서의 증설이 완료되었으며, 추가 투자는 최소화될 예정 * 2025년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의 매출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타워 부문은 20% 이상의 성장이 전망됨 |
미래에셋증권 | 유한양행 | MARIPOSA OS 데이터 공개 주목(초록 3/20) | * 유한양행은 합성신약과 바이오신약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AI를 통한 신약 개발 및 데이터 공개가 주목받고 있음 * 유한양행의 최근 바이오신약 자료와 합성신약 관련 프로젝트가 향후 실적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 * MARIPOSA OS 데이터 공개가 향후 회사의 신약 개발 및 시장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
IBK투자증권 | 이마트 | 2027년 영업이익 1조원(가이던스) 가능할까? | * 이마트는 2027년 영업이익 1조원 목표 제시, 주요 요인은 G마켓 합작법인 출범 및 SSG.COM 물류 3PL 전환 등 * 2025년 영업이익 3,524억원 전망, 실적 개선은 주로 통합매입 효과와 인건비 절감, 프라퍼티 회계기준 변경에 기인 * 이마트 2027년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시각, 그러나 G마켓 적자 축소와 프라퍼티 이익 증가 부분은 영업활동에 의한 개선이 아님 |
미래에셋증권 | 일진하이솔루스 | 넥쏘 후속 모델에 기대 | * 일진하이솔루스의 4Q24 실적은 매출액 143억원, 전년 대비 25.9% 감소 예상, 영업이익은 적자 지속 전망 * 2025년 넥쏘 후속 모델 출시와 정부의 수소차 보조금 지원이 매출 회복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롯데에어리퀴드로부터 고압수소 저장장치 수주,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첫 발걸음으로 평가됨 |
키움증권 | 카카오 | 밸류에이션 회복 국면 | * 카카오는 오픈AI와의 협업으로 커머스 사업부문 가치를 7.1조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선물하기 기능을 통해 탑라인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됨 * 카카오는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지분 가치를 반영, 목표주가를 59,000원으로 상향하며 인터넷/게임 업종 내 최선호주로 지속됨 * 카카오는 2025년 매출액 8,519억원, 영업이익 724억원으로 예상되며, 카카오모빌리티와 유료 콘텐츠 사업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임 |
유안타증권 | 코스메카코리아 | 2025년 가이던스 발표: 성장 기회는 있다 | * 코스메카코리아 2025년 가이던스 발표, 매출 5,900억원, 영업이익률 12% 목표 설정 * 2024년 4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보다 30% 낮은 영업이익 기록, 주된 원인은 잉글우드랩 적자 및 원가 상승 * 2025년 실적 개선 기대, 청주 하이드로겔 생산라인 가동과 OTC 선스크린 제조 인프라 확장 예정 |
교보증권 | 코스메카코리아 | 4Q24 Re: 25년 상저하고 실적 전망 | * 코스메카코리아는 2024년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보다 낮았으며, 매출 1,283억원, 영업이익 133억원을 기록 * 한국 법인은 색조 매출 증가로 매출 확대를 보였으나, 이익률은 감소, 신규 생산시설 투자로 향후 성장이 기대됨 * 2025년 실적은 상저하고 예상, 목표주가는 8만원으로 하향 조정, 하반기에는 미국 신규 OTC 제품 매출 기여가 기대됨 |
하나증권 | 코스메카코리아 | 저점 통과 중 | * 클리오의 4분기 실적은 매출 782억원, 영업이익 1억원으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하며, 수익성 급감의 주요 원인은 매출 감소 * 2025년 클리오는 신규 국가 및 채널 진입을 통해 해외 수요 확대에 집중하며, 마케팅 효율성을 높여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목표주가는 26,000원으로 하향되었으며, 2025년 실적은 매출 3,592억원과 영업이익 34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하나증권 | 코오롱인더 | 견조한 타이어코드/수지. 아라미드 회복이 관건 | * 4Q24 영업이익이 358억원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며, 아라미드의 정기보수 및 일회성 비용 등이 영향을 미쳤음 * 화학 부문은 7년 만에 최대 분기 이익을 기록했으며, PET 타이어코드는 수요 환경에 따라 견조한 실적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 * 아라미드 수출 물량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어 회복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 |
신한투자증권 | 코오롱인더 | 다시 한번 걸어보는 기대 | * 코오롱인더는 산업자재와 화학 사업에서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하며 하반기 아라미드 업황 개선 기대됨 * 2025년 코오롱인더의 영업이익은 5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목표주가는 45,000원으로 상향 조정됨 * 아라미드와 패션 부문에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으나, 하반기 타이어코드와 아라미드 수요 회복으로 전사 이익 비중 확대 전망 |
신한투자증권 | 코웨이 | NDR takeaway: 실적, 성장, 주주환원 | * 코웨이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2024년 4분기, 국내 렌탈 계정 및 판매량이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며, 신제품 출시 및 기존 제품 업그레이드를 통해 계정 순증을 이어갈 전망 * 말레이시아 및 태국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와 신규 채널 강화가 예상되며, 정수기 및 홈케어 제품군의 성장에 중점을 둔 전략을 추진할 예정 |
하나증권 | 클리오 | 저점 통과 중 | * 클리오의 4분기 실적은 매출 782억원, 영업이익 1억원으로 예상보다 크게 하회하며, 주요 원인은 매출 감소와 광고비 증가에 있음 * 2025년 클리오는 신규 국가 및 채널 진입을 통해 해외 수요를 견인하고, 마케팅 효율성을 높이며 실적 개선을 목표로 함 * 목표주가는 26,000원으로 하향 조정되었지만, 실적의 저점은 통과 중이며 점진적인 개선이 기대됨 |
DS투자증권 | 파미셀 | AI 가속기로 고성장 고수익 구간 진입 | * 파미셀은 AI 가속기로 고성장을 이어가며 2025년 매출 1,452억원, 영업이익 392억원을 전망함 * 회사는 케미컬 부문에서 레진, 경화제 등 제품군으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AI 가속기 관련 경화제의 매출 증가가 예상됨 * 목표주가는 15,000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승여력은 약 32.7%로 분석됨 |
유진투자증권 | 하이비젼시스템 | 4Q24 Review: 인도 진출은 새로운 기회 | * 하이비젼시스템은 4Q24 실적에서 매출 704억원, 영업손실 23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를 크게 하회함 * 2025년에는 인도 공장 진출과 사업 영역 다변화를 통해 성장 전환이 기대되며, IT/모바일 부문과 이차전지 부문에서 매출 성장이 예상됨 * 현재 주가는 2025년 실적 기준 PER 8.2배로 동종업체 대비 큰 폭으로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음 |
DS투자증권 | 하이젠알앤엠 | 절망 속에서 찾은 작은 희망의 씨앗 | * 한국 기업들은 휴머노이드 분야에서 기술적 경쟁력이 부족하지만, ‘Supply Chain’ 구축을 위해 Body 부품과 액츄에이터 부문에서 빠르게 레퍼런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 2025년부터 테슬라는 옵티머스 생산 계획에 따라 대량 생산 체제로 전환하고, 경쟁 기업들도 상용화를 서두를 전망임 * 하이젠알앤엠은 휴머노이드 액츄에이터 개발 및 납품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준비가 되어 있음 |
유진투자증권 | 한국가스공사 | 3분기 연속 서프라이즈 | * 한국가스공사는 2024년 4분기 실적에서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매출 9.9조원, 영업이익 1.2조원으로 예상 상회 * 1Q25 매출 12조원, 영업이익 9,636억원 전망, 그러나 금융비용 증가로 도매사업 실적에 미칠 영향 예상 * 2027년 목표가 59,000원으로 하향, 해외 사업 증가와 국내 가스전 개발 불확실성 반영 |
신한투자증권 | 한국가스공사 | 4Q24 Re: 놀라운 이익, 배당은 물음표 | * 한국가스공사는 2024년 4분기 연결 영업이익 1.2조원으로 예상치를 상회하며, 주요 해외 사업에서 실적 개선을 보였음 * 2025년 연결 영업이익은 2.5조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할 전망, 환율과 에너지 가격의 하향 안정화가 주요 원인으로 예상됨 * 목표주가는 5만원으로 유지, 배당은 미수금 회수 여부에 달려 있으며, 2024년 배당금은 900원으로 예상됨 |
대신증권 | 한국가스공사 | 4Q24 일회성 서프라이즈. 관 건은 배당, 요금 인상 | * 한국가스공사는 4Q24 영업이익 1.12조원을 기록하며, 가스도매사업과 해외 자원개발사업에서 서프라이즈 실적을 보임 * 2025년 영업이익은 2.61조원으로 예상되며, 가스도매 부문과 해외 자원개발 부문에서의 실적 개선이 기대됨 * 배당성향 결정과 민수용 미수금 회수 확대 여부가 주요 투자 포인트로, 2024년 배당수익률은 6%로 예상됨 |
한화투자증권 | 한국가스공사 | [4Q24 Review] 배당 재개 이후에도 남은 숙제 | * 4Q24 실적은 영업이익 1.18조 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며, 별도 순이익은 7,934억원으로 흑자전환을 기록 * 배당 재개 가능성 높지만, 미수금과 차입금 상환 부담을 고려한 배당성향 조정 필요성 있음 * 목표주가는 57,000원 유지, 실적 변동이 크지 않지만 미수금 감소 및 차입금 축소에 따라 배당 확대 가능성 확인 |
하나증권 | 한국가스공사 | 기저효과에 일회성 이익까지 | * 한국가스공사는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를 상회했으며, 가스요금 경감손실이 일회성 이익으로 반영되었음 * 2025년 한국가스공사는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서 개선된 실적을 기록하며, 순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가스도입 및 판매 부문에서의 실적은 부진했으나, 해외 사업 및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크게 개선되었음 |
미래에셋증권 | 한국가스공사 | 여전히 미수금 감소 여부에 집중해야할 때 | * 한국가스공사는 미수금 감소 여부에 집중해야 하며, 이는 향후 실적 개선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임 * 2024년과 2025년 매출 성장과 개선된 수익성이 기대되나, 미수금 문제 해결이 필수적임 * 한국가스공사의 주가는 미수금 감소와 이에 따른 재무 개선 여부에 따라 큰 변동을 겪을 가능성이 있음 |
iM증권 | 한진 | 올해 택배 및 미주 역직구 수요 증가로 실적개선 | * 한진의 2024년 실적은 매출액 31,274억원과 영업이익 1,315억원으로 예상되며, 택배부문의 수익성 개선과 글로벌 부문 성장이 주요 요인 * 대전 메가허브 터미널 개장 이후 물동량 증가와 허브 앤 스포크 체계 강화로 택배 물류 효율이 향상되며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 * 글로벌 부문에서 역직구 수요 증가로 미주 사업 확장이 가속화되고, 특히 풀필먼트 및 RFS 매출 증가가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신한투자증권 | 한화손해보험 | 기대치 부합 | * 한화손해보험은 4Q24 순이익 365억원을 기록했으며,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달성 * 신계약 CSM이 2025년 목표치인 8,400억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 CSM 상각이익 증가가 전망됨 * 한화손해보험은 배당 재원 부족으로 단기적인 배당 지급에 어려움이 있지만, 장기적인 성장 목표와 자본 비율 유지 계획을 제시 |
키움증권 | 한화손해보험 | 내실을 다지는 중 | * 한화손해보험은 4분기 실적에서 1% 감소한 순이익 365억원을 기록했으며, CSM 조정과 주주환원 불확실성이 여전히 부담 요소임 * 2024년 연간 순이익은 32% 증가한 3,823억원을 기록, 손해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CSM 조정이 발생했음 * 향후 펀더멘털 개선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주주환원 재개에 필요한 제도 개선 여부는 불확실성으로 남음 |
SK증권 | 현대해상 | Restructuring progress | * 현대해상은 4Q24 순손실 157억원을 기록, 보험금 예실차와 자동차보험 실적 부진으로 부진한 실적을 나타냄 * 2025년에는 보험금 부담이 점진적으로 완화될 전망, 후순위채 발행 등 자본 부담을 관리하는 모습이 예상됨 * 목표주가 32,000원 유지, 신계약 수익성 중심 판매 전략과 실손보험 제도 개선에 따른 체질 개선 기대 |
신한투자증권 | 현대해상 | 시간이 약이다 | * 현대해상은 실손 및 비급여 개혁이 진행될 경우 경쟁사와의 밸류에이션 갭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배당재원 회복도 기대됨 * 2025년 말 K-ICS 비율 목표는 160%로 설정되어 있으며, 후순위채 발행과 재보험 활용을 통해 이를 달성할 계획임 * 현대해상은 연만기 신계약 비중을 57% 수준으로 유지하며, 2025년에도 신계약 CSM 배수가 15배로 확대될 전망임 |
키움증권 | 현대해상 | 아쉬운 대규모 CSM 조정 | * 2024년 4분기 현대해상 순이익은 -157억원으로 적자 지속, CSM 조정과 예실차 악화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함 * 신계약 CSM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CSM 상각익 감소와 자본비율 하락으로 주주환원 재개 시점 예측 어려움 * 2025년 목표 K-ICS 비율은 160%로 설정, 신계약 CSM 증가로 이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미래에셋증권 | 현대해상 | 해 뜨기 전 어두운 새벽 | * 현대해상 주가는 최근 1년간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투자등급 비율에서 매수 의견이 84.62%를 차지함 * 투자등급 비율은 매수 84.62%, 중립 7.14%, 매도 8.24%로 나타나며, 현재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되고 있음 * 현대해상 관련 주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향후 주가 상승 가능성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