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이버 증권 - 경제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16.(월)

증권사 리포트

by 조선아재 2025. 2. 10. 18:01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경제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경제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전세계의 경제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제목 요약내용
키움증권 12/16, Kiwoom Morning Letter * KOSPI는 2,494.46포인트로 상승 마감하며 대형주와 중형주도 상승세 기록 

* 외국인은 1,739억원 순매도를 기록했으며 기관은 1,398억원 순매수를 나타냄 

* 미국 증시는 브로드컴(+24.4%)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금리 상승 부담으로 혼조세 

* 13일 WTI 가격은 71.29달러로 상승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과 OPEC+ 감산 이슈 반영 

* 달러/원 환율은 1,433.00원으로 소폭 상승하며 국내 정치 이벤트에 대한 관망세 유지  
하나증권 12월 ECB 통화정책회의: Dovish한 스탠스, 명백한 방향성 * ECB는 12월 회의에서 예금금리를 3.25%→3.00%로 인하하며 금리 인하 기조 시사 

* 유로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며 경기 둔화 우려 확대 

* 라가르드 총재는 50bp 금리 인하 논의가 있었다고 시인했지만 25bp 인하를 만장일치 결정 

* 트럼프 집권 2기 관세 인상 가능성이 대외 불확실성을 높이며 유로존 경기 하방 압력 가중 

* ECB는 2025년까지 5회 금리 인하 예상되며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장기화될 가능성 존재  
iM증권 FOMC와 BOJ 경계감 * 11월 미국 생산자물가가 예상보다 높아지며 달러화 강세 폭 확대 

* ECB의 25bp 금리 인하 결정과 추가 인하 가능성이 유로화 약세 압력 작용 

* 일본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유보할 가능성이 커지며 엔화 가치 하락 

* 달러-원 환율은 정치적 긴장과 FOMC 회의 영향으로 1,410~1,460원 전망 

* 12월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 기정사실화, 향후 속도 조절 여부가 시장 변수  
iM증권 미국을 바라보는 기대와 우려 * 브로드컴이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하며 미국 기술혁신 경쟁이 가속화 

* 미국 주요 기업들의 AI 및 양자컴퓨터 개발이 증시 상승 동력으로 작용 

* 12월 FOMC 회의에서 금리인하가 예상되지만 점도표 수정 여부가 시장 변수 

*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 상승으로 물가 리스크 지속 

* 트럼프 2기 정책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과 원유 가격 상승 가능성 확대  
유진투자증권 불확실성의 정점 * 원달러 환율이 1,436원까지 상승하며 1,500원 돌파 가능성도 제기됨 

* 과거 금융위기 제외하면 환율은 평균 10~20% 상승 후 안정되는 패턴 보임 

* 원화 약세는 20개월 후 수출 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2025년 2Q 반등 예상 

* 환율 상승으로 에너지, 기계, 조선, 자동차, 필수소비재 업종의 영업이익 개선 기대 

* 국내 증시는 달러 기준 고점 대비 -30% 하락하며 외국인 매도 압력 완화 가능성 존재  
신한투자증권 신한 Econ Check-Up * 11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3% 상승하며 서비스 물가 안정 속 재화 물가 반등 

* ECB는 12월 회의에서 예금금리를 3.00%로 25bp 인하하며 경기 둔화 우려 반영 

*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2025년 내수 확대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추가 부양책 가능성 시사 

* 12월 FOMC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예상되며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부각 

* 미국 11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은 연말 쇼핑 시즌 효과로 개선 전망  
신한투자증권 신한 FX Check-Up * 달러화 지수는 106pt 후반으로 상승하며 미국과 유럽 통화정책 차이로 강 달러 압력 지속 

* ECB는 12월 회의에서 금리 25bp 인하를 단행하며 추가 통화완화 가능성 시사 

* 원/달러 환율은 1,430원대로 상승하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 

* 미국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예상되지만 점도표 조정 가능성이 강 달러 요인으로 작용 

* 엔/달러 환율은 150엔 초반에서 상승하며 일본은행의 금리 정책이 추가 약세를 제한할 가능성 존재  
대신증권 오래가지 않을 미국 물가 걱정 * 11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계란과 중고차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월 대비 상승 폭 확대 

* 주거비 상승 폭 둔화되며 서비스 물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 유지 

* 연말 소비가 예상보다 견조했으며 내년 1분기 소비 둔화 가능성이 물가 상승 압력 완화 

* 생산성 개선과 AI 기술 상용화가 한계노동비용 증가를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트럼프 취임 시 정부 고용 둔화가 예상되며 노동시장 수요 축소가 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  
대신증권 위안화에 대한 고민 * 달러/위안 환율은 7.26~7.28 위안대에서 유지되며 미중 갈등과 관세 강화 우려로 위안화 약세 지속 

*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 약세를 달러당 7.5위안까지 용인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 등장 

* 중국은 관세 부과를 지연시키기 위해 내수 진작과 감산 조치를 통해 인플레이션 수출 전략을 고려 

* 최근 발표된 수출 환급세 하향 조치는 기업들의 공급 감소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 존재 

* 중국 정부는 부동산 및 주식시장 안정을 내년 목표로 설정하며 위안화 수요 유입 가능성도 고려  
iM증권 중국, 내수부진 치유 어렵다 * 11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3.0%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5.0%)를 크게 하회 

*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3.3% 증가했지만 기대치를 밑돌며 부진한 흐름 지속 

* 부동산 투자는 1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며 신규 주택가격도 하락세 지속 

* 중국 정부는 내수 확대를 목표로 하지만 구체적인 재정 부양책 발표는 지연되는 상황 

* 디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며 저가 수출 공세 강화로 글로벌 경기에도 부담 작용 가능성  
한화투자증권 추경이 필요한 이유 * 2024년 내수 성장기여도는 -0.2%p로 하락하며 코로나 이후 가장 부진한 한 해로 기록될 전망 

* 소비는 증가했지만 가계의 체감경기 악화와 미래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출이 위축된 상황 

* 민간 일자리 증가 둔화와 자영업자 감소로 인해 소비 여력도 약해지고 있는 흐름 지속 

* 내년 추경 세출확대 규모는 10~20조원으로 예상되며 경제성장률 반등 효과 기대 

* 원/달러 환율은 내년 3월 전후로 1,400원을 하회할 가능성이 있으며 안정화될 전망  
유진투자증권 탄핵 후 관심은 추경과 12월 FOMC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며 시장은 이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로 인식하는 분위기 

* 내년 10조원 이상의 추경 가능성이 있으며, 정치적 필요성과 성장 방어 차원에서 규모 확대 전망 

* 내년 1분기 후반~2분기 중 추경 현실화 가능성이 높으며 국채 발행 증가로 장기채 부담 예상 

* 12월 FOMC에서는 금리 25bp 인하가 예상되며, 점도표 상향 조정으로 매파적 인하 가능성 존재 

* 미국 물가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지고 있어 연준이 신중한 금리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 높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