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16.(월)

증권사 리포트

by 조선아재 2025. 2. 10. 19:36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산업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산업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산업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제목 요약내용
대신증권 (IT)
불확실성의 완화, 2025년 관점에서 바닥권 인식으로 비중 확대
* 2025년 IT기기 수요 회복과 실적 개선을 고려해 전기전자 업종 중심으로 점진적 비중 확대 제시 

* 반도체보다 전기전자 업종의 반등이 선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삼성전기가 최선호주로 유지됨 

* 엔비디아 주가 약세로 AI 관련 반도체 업종 부담 증가, 국내 기업의 영향력 변동 가능성 존재 

* 2025년 스마트폰 시장에서 메모리 용량 증가 전망, 삼성전자 갤럭시 S25와 애플 아이폰 17 모델이 영향받을 가능성 

* LG전자 인도법인 IPO 추진, 2025년 상반기 내 완료 예상되며, 조달 자금은 M&A 및 주주환원 정책에 활용 예정  
신한투자증권 (건설)
신한 건설 Weekly (12월 2주차)
* 12/9~13 건설업종 주가는 3.8% 상승하며 KOSPI 대비 1.1%p 아웃퍼폼, 주가 급락 후 기계적 반등 영향 

*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건설업종 주가는 KOSPI 대비 언더퍼폼, 매수심리 회복까지 1~3개월 소요 

* 비상계엄 이후 건설업종 KOSPI 대비 부진 지속, 주요 주택법안 입법화 보류로 2025년 주택공급 불확실성 증가 

*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상품 금리 인상과 대출규제 영향으로 매수심리 위축 장기화 가능성 존재 

* 삼성E&A, 말레이시아 피닉스 바이오정유 프로젝트 1조3,669억원 규모 수주하며 SAF 시장 첫 진출  
하나증권 (게임)
TGA 2024 리뷰
* TGA 2024에서 소니의 [아스트로 봇]이 올해의 게임 포함 4개 부문에서 수상 

* 시프트업의 [스텔라 블레이드]가 최고 음악·액션 게임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 실패 

* 반다이남코는 [엘든 링: 밤의 통치자] 2025년 출시 발표, 최대 3인 협동 플레이 지원 

* 넥슨은 [퍼스트 버서커: 카잔]을 2025년 3월 28일 출시, [데이브 더 다이버] DLC 공개 

* 펄어비스의 [붉은사막]은 2025년 말 출시 예정이며 PC, PS5, XBOX 동시 출시 계획  
하나증권 (기타)
기업별 히팅 존 설정 필요
* 11월 미국 BEV 판매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했고, 영국은 +58% 증가했으며, 리튬 가격은 70위안/kg 수준을 유지 중임 

* 전기차 대형주는 실적 조정 가능성 남아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 70조원 후반~90조원 중반, 포스코퓨처엠/에코프로비엠 10조~13조원 트레이딩 밴드 도출됨 

* Tesla는 신형 모델 ‘Model Q’를 2025년 상반기 출시할 예정이며, 보조금 적용 시 예상 판매가는 3만달러 이하임 

* Stellantis와 CATL은 6.2조원을 투자해 스페인에 50GWh 규모의 LFP 배터리 합작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며, 2026년 말 가동 목표임 

* 미국 정부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브라질 니켈·코발트 광산 개발 프로젝트에 5.5억달러 규모의 대출 지원을 검토 중임  
유진투자증권 (기타)
로보티즈 콥데이 주요 Q&A
* 로보티즈는 액츄에이터 매출이 4분기로 일부 이연되었으며, 전년 대비 20% 성장 예상됨 

* 자율주행로봇 판매가 본격화되며 내년 상반기 100대, 연말까지 200대 이상 납품 기대됨 

* R&D 비용 증가 없이 순차 양산이 진행되어 내년 흑자 전환 목표로 설정됨 

* 액츄에이터는 높은 내재화율로 인해 마진율이 높으며, 자율주행로봇도 GP 기준 50% 이상 유지됨 

* 테슬라 옵티머스는 시각 센서 없이 야지 보행 능력을 공개하며 기술 발전을 선보임  
대신증권 (기타)
변화의 시기, 성장축을 점검할 때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트럼프 2.0 시대의 무역장벽 강화로 인해 방산업종의 종목별 차별화가 예상됨 

* 제3세계 국가들의 군 현대화 및 무기 확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남아∙중남미 시장이 새로운 성장 기회로 주목받고 있음 

* LIG넥스원은 중동, 미국, ASEAN 등 수출 가능성이 높으며, 고스트로보틱스 인수를 통해 미래 전장 환경을 선점하고 있음 

* 한국항공우주는 FA-50과 KF-21의 수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2025년 이후 가시적인 이익 성장이 기대됨 

* 주요 방산업체의 시가총액은 2020년 5조원에서 2024년 28조원으로 급증했으며, 추가 수주 확보가 향후 주가 상승의 핵심 요소로 작용할 전망  
신한투자증권 (기타)
씨에스윈드 그룹 베트남 견문록: 해자
* 씨에스윈드 베트남 공장은 2004년 운영을 시작, 숙련 인력과 대형 생산 설비를 바탕으로 품질과 납기 준수 유지 

* 2025년 씨에스윈드 매출액 3조877억원, 영업이익 2,774억원 전망, 타워 부문은 지속 성장 

* 미국, 베트남, 포르투갈이 성장을 주도하며 2026년 풍력 부품 공급 부족 예상, 씨에스윈드 시장 점유율 1위 유지 

*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추진, 베트남 공장은 전체 타워 생산량의 20% 차지하며 핵심 생산 기지 역할 수행 

* 트럼프 행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IRA 축소 가능성 있지만 금리 인하가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
하나증권 (반도체)
ASIC 시장 기대감 확대
* Broadcom은 FY4Q24 실적 발표 후 ASIC 시장 성장 기대감이 반영되며 주가 24% 상승 

* FY24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150~200억 달러, FY27까지 600~900억 달러 성장 전망 

* Broadcom은 기존 하이퍼스케일러 고객 외 두 개 고객 추가 확보하며 시장 확대 

* FY1Q25 반도체 매출 전망은 81억 달러, AI 매출 38억 달러, 비AI 매출 43억 달러 예상 

* Micron은 12월 18일 FY1Q25 실적 발표 예정, HBM과 eSSD 수요 강세 지속될 전망  
유진투자증권 (반도체)
Awaiting FOMC & Micron
* DXI 지수가 주간 3.2% 상승하며 반도체 시장에 대한 기대감 반영 

* 브로드컴 주가는 ASIC 시장 성장 기대감으로 25% 상승, 시가총액 1조 달러 클럽 가입 

* 18일 FOMC와 마이크론 실적 발표가 연말~연초 주가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 마이크론 실적 가이던스는 매출 87.1억 달러, 영업이익 26억 달러, EPS 1.80달러 예상 

* 코스피 지수는 계엄령 사태 이후 139pt 하락 후 133pt 반등하며 단기 반등 기대  
키움증권 (반도체)
반도체 소부장, 저가 매수 나서야 할 시점
*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업종의 저가 매수 기회가 도래하며, 주가가 역사적 최저점 수준에 위치하고 있음 

* 2025년 상반기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CXMT 제재 기대감이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CapEx 하향 조정 우려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장비 업체들의 수주 금액 증가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 DRAM과 NAND 부문에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며, AI 시장 내 중국 업체들에 대한 미국의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존재함 

* 반도체 업종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긴 호흡으로 비중 확대를 추천함  
하나증권 (석유화학)
2025년 초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 반등 예상
* 2025년 초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 반등 전망, 동남아 4개국에 대한 AD/CVD 관세 부과 영향 때문임 

* 2024년 12월부터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적용, 베트남산 최대 271.28% 등 높은 관세율이 미국 모듈 가격 상승 유도 

* 6월 면세 조치 종료, 12월 예비 판정 후 AD/CVD 적용되며, 미국 내 태양광 모듈 공급과잉 완화 예상 

* 트럼프 재선 시 중국 업체의 미국 내 증설 제약 가능성 증가, 미국 내 공급과잉 해소에 긍정적 요인 

*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 반등 후 추세적 상승 여부는 재고 소진 속도에 따라 달라질 전망  
iM증권 (석유화학)
기름뿜뿜 Weekly: 여러모로 순탄치 않았던 24년 돌아보기
* WTI 유가는 $69.3로 소폭 상승했으며, Dubai 유가는 $72.3, Brent 유가는 $72.8로 유지됨 

* 미국과 유럽은 러시아산 원유 추가 제재를 검토 중이며,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 원유 수입 감소 가능성이 있음 

* 2025년 유가는 글로벌 수요 둔화, 미국 시추 및 생산 규제 완화로 인해 $60~70 수준에서 안정될 전망 

* 효성티앤씨는 효성화학의 NF3 사업을 9,200억원에 인수하였으며, 추가 차입으로 인한 현금흐름 부담 증가 예상 

* 사우디 Aramco는 아시아 OSP를 인하하며, 미국에 뺏긴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  
신한투자증권 (은행)
10월 은행 연체율 동향
* 10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0.48%로 전월 대비 3bp 상승하며 연체채권 정리 효과 소멸로 증가 

* 11월 기준금리 인하 후 은행채 금리 하락이 빠르게 반영되며 대출금리 하락 효과 체감 상승 예상 

* 신규 연체 발생액은 2.5조원, 정리 규모는 1.7조원으로 연체채권 잔액이 전월 대비 0.8조원 증가 

* 기업대출 연체율은 0.56%로 전월 대비 4bp 상승,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상승폭 둔화 

* 가계대출 연체율은 0.38%로 신용대출 연체율이 0.76%까지 상승하며 전월 대비 7bp 증가  
하나증권 (은행)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 지속 중
* 금융당국, 비상계엄 이후 유동성 리스크 완화를 위해 은행권 규제 완화 검토 중 

* 한국거래소, 16일 ‘밸류업지수’ 특별 리밸런싱 실시, 금융·통신주 추가 편입 예상 

* 금투세 폐지 포함한 소득세법 개정안 국회 통과, 밸류업 정책 추진 동력 약화 우려 

* 신한지주 주가 3.5% 하락, 외국인 순매도 지속되며 금융주 중 가장 큰 낙폭 기록 

* 하나금융, 연말까지 자사주 매입 확대 계획, 원/달러 환율 안정화 시 수혜 기대
DS투자증권 (음식료)
차이나는 바텀콜 feat 음식료&미디어
* 중국 정부의 강도 높은 경기 부양책 발표와 내수 소비 반등 기대감이 높아지는 중 

* 14년 만에 통화정책 기조가 ‘안정’에서 ‘완화’로 전환되고 적극적인 재정정책이 강조됨 

* 음식료 섹터에서 오리온, 건기식 ODM, 삼양식품 등이 중국 내수 회복의 수혜를 받을 가능성 있음 

* 미디어 콘텐츠 섹터에서도 중국 내 문화 콘텐츠 소비 증가 및 K-콘텐츠 시장 확장 기대 

* 중국 소비자신뢰지수와 주가 지수 반등이 나타나며 경기 부양 효과가 점진적으로 반영될 전망  
하나증권 (전기전자)
재차 확인한 AI 수혜의 중요성과 중국 기대감
* 코스피는 기관이 4주 연속 순매수하며 2.7% 상승, 전기전자 대형주 주가도 오랜만에 지수를 상회하는 흐름 보임 

* 삼성전기는 AI 서버향 ASIC 패키지기판 공급 확정으로 주가 14.2% 상승, LG이노텍도 기술적 반등 영향으로 양호한 흐름 

* AI 수혜 및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여부가 주가 상승폭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관련 투자 아이디어 고민 필요 

* Broadcom은 AI ASIC 출하량 2배 증가 등 실적 호조로 2주 연속 주가 급등, 글로벌 테크 업계에서도 AI 성장 중요성 확인 

* 24년 4분기 테크 수요 부진 전망 속에서도 AI 관련 수혜 업체 및 저평가 종목에 대한 선별적 투자 전략 유지
신한투자증권 (조선)
[Corp. Day 후기] 정치 리스크에도 이상무
* 조선업체들은 정치적 리스크보다 원화 약세와 공급 제약 등의 요소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침 

* 방산업체들은 국내 정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수출 중심 구조로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됨 

* 전력기기는 북미 수요 호조와 유럽 시장 회복으로 성장이 지속되지만, 건설장비는 회복까지 시간이 필요함 

* 조선업체들의 수주 목표는 대부분 초과 달성되었으며, LNG선과 해양 프로젝트의 수주 지속이 예상됨 

* 방산업체들은 수출 중심으로 성장하며, L-SAM 등 대형 프로젝트가 장기적으로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됨  
SK증권 (조선)
한수위: 미 상륙함정 유지보수도 한국 조선업이 필요
* 신조선가지수 189.05pt, 중고선가지수 174.78pt 기록하며 소폭 하락 

* Mitsui&Co, 200억 달러 규모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 재개 추진, 국내 조선사 LNGC 17척 수주 기대감 상승 

* 미 해군 보유 상륙전 함대 32척 중 16척이 작전 불가능한 상태, 유지보수 및 신규 건조 필요성 부각 

* 미 해군, 2년마다 LPD 1척, 4년마다 LHA 1척 건조 계획, 기존 함정 수명 연장 필요성 증가 

* 한국과 일본 조선소, 미 해군 노후 함정 유지보수(MRO) 지원 가능성 대두, 한화오션 필리조선소 활용 기대  
하나증권 (철강금속)
‘25년 중국 철광석 가격 톤당 100달러 하회 ..
* ‘25년 중국 철광석 가격은 공급 과잉 영향으로 톤당 90~100달러로 하락 예상됨 

* 2024년 중국 고로 조강 생산량은 전년대비 3.5% 감소한 8.1억톤으로 추산됨 

* 글로벌 철광석 공급이 증가해 내년 생산량은 7,000만톤 증가할 가능성 있음 

* 중국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철강 수요가 0.7% 감소해 8억9,371만톤 예상됨 

* 인도 철광석 수입량은 전년대비 42% 증가해 119만톤을 기록하며 급증세 보임  
iM증권 (철강금속)
Steel Weekly (12월 2주차)
* 중국 철강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며, 동절기 비수기와 부양책의 구체성 부족이 원인으로 작용 

* 2025년 중국의 적극적 재정 정책과 완화적 통화 정책이 예고되었지만 시장 반응은 미미한 상태 

* 중국 정부는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철강 수출 기조가 더욱 강화될 전망 

* 동남아 철강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며, 베트남에서는 내수 철강 가격이 지속적으로 인하되는 흐름 

* 인도 철강업계는 저가 수입품 유입과 자체 증설로 인해 가동률 하락 가능성을 경고하는 상황  
SK증권 (철강금속)
철강/비철 Weekly Scene Steeler: 중국 부양책에 대한 톤은 강해지고 있다
* 지난주 중국 철강 가격은 혼조세 보였으며, 중앙정치국회의에서 적극적 재정 및 완화적 통화 정책 의지 표명 

* 철강 제품 재고는 제철소 및 유통 단계 모두 감소세 지속, 15년 조사 시작 이후 최저 수준 기록 

* 중국 비철금속 가격은 혼조세 나타냈으며, 구리 제련소의 수익성 악화 우려 증가 

* 중국 주요 철강사 주가는 9월 말 대비 상승했으나, 국내 철강사 주가는 반등 이후 하락하며 괴리 확대 

* 중국 정부의 추가 부양책 기대감 속에서 철강 가격 반등 가능성 제기, 내년 상반기 가격 상승 예상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