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이버 증권 - 많이 본 뉴스) 뉴스 요약 - 2025. 2. 10.(월) 저녁

많이본 뉴스

by 조선아재 2025. 2. 10. 20:49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사람들이 관심 있어 하는 뉴스를 보면 세상 돌아가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관심이 많은 곳에는 돈과 관련 있다고 생각되어 자료를 요약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네이버 금융 - 뉴스 - 많이 본 뉴스]에서 100가지 많이 본 뉴스를 소개하는데 정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상위 50개만 요약 정리하여 매일 업로드하려고 합니다.

혹시나, 저작권 관련하여 이야기가 나오면 삭제할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신문사명 뉴스제목 요약내용
한국경제TV '부자아빠' 기요사키 "대공황 임박...폭락 불가피" * 로버트 기요사키는 세계 경제가 대공황에 진입하고 있으며 주식 시장이 최악의 폭락을 겪을 것이라 경고

* 그는 대공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금, 은, 비트코인에 투자할 것을 조언

*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특히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며 일부 부동산 거래는 활성화될 가능성 있음
서울경제 '줄 서는 맛집' 런던베이글뮤지엄, '고평가' 논란에도 10여곳 인수 관심 [시그널] * 글로벌 사모펀드 등 10여 곳이 런던베이글뮤지엄 인수를 검토하며 예상 매각가는 3,000억 원 수준

* 매각가가 기업가치 대비 EBITDA의 15배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고평가 논란이 존재

* 일본, 싱가포르 등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확장 가능성도 고려되고 있음
머니투데이 "정국이 곧 전역이네"…'제대'로 뛴 주가, 흥 오른 개미들 * 방탄소년단(BTS) 멤버들의 전역이 다가오면서 엔터테인먼트 관련 주식이 연중 최고가를 경신

* 하이브를 포함한 엔터 4사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증권가는 적극적인 비중 확대 전략을 제시

* 중국과의 문화 교류 활성화 기대감도 더해져 K팝 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는 중
데일리안 [코인뉴스] 비트코인, 트럼프 입에 또 '출렁'...1억5000만원 깨졌다 * 도널드 트럼프가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후 비트코인이 하락 후 일부 회복

* 비트코인은 한때 9만4,855달러까지 떨어졌다가 9만6,972달러로 반등하며 변동성 지속

* 미국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고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이 제기됨
한국경제 삼성 덕분에 풍족한데…"내후년은 어쩌나" 한숨 푹푹 [관가 포커스] * 삼성 오너일가는 상속세로 매년 2조 원을 납부하며, 2026년까지 완납할 계획

* 2023년 법인세 수입이 전년 대비 17조9,082억 원 감소하며 정부 재정 부담 증가

* 상속세 수입은 15조3,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 삼성 오너일가가 주요 납부자로 기여
한국경제TV 코스피, 지수하방 견고 '전약후강'…삼전, 3%대 '급등' 마감 * 코스피는 장 초반 2,500선을 하회했으나 기관의 2,600억 원 순매수에 힘입어 낙폭을 줄이며 2,521.27로 마감

* 삼성전자는 3.54% 상승하며 5만5,600원에 마감, NAND 가격 반등 및 반도체 지원 법안 기대감 반영

* 코스닥은 0.91% 상승한 749.67에 마감하며 반도체 및 IT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임
한국경제TV MSCI 퇴출위기 2차전지 5곳 어디? [마켓딥다이브] * MSCI 지수에서 최대 16개 종목이 편출될 예정이며, 2차전지 관련 종목 5곳이 포함될 가능성 높음

* 2차전지 종목은 최근 평균 7.5% 하락했으며, LG화학 우선주는 20% 이상 급락

* 편출될 경우 약 4,000억 원 규모의 자금 이탈이 예상되며, 증권가는 당분간 비중 축소를 권고
머니투데이 삼성 기소 사과한 이복현, 이번엔 "현대차 훌륭" 이례적 호평[현장+]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현대차의 주주 소통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선진적 주주문화 형성을 언급

* 기업 합병 및 물적분할 이슈에서 주주와의 충분한 사전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

*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기소와 관련해 사과한 후 현대차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며 그의 임기 말 행보에 관심 집중
매일경제 트럼프로 흔들리는 2차전지…지수 편출 위기군은 누구? * 2차전지 지수는 올해 들어 4.31% 하락했으며, MSCI 지수 및 코스피·코스닥 대형주 지수에서 편출될 가능성이 높아짐

* MSCI 한국지수에서 엘앤에프, 에코프로비엠, 포스코D 등이 편출 위험군으로 지목됨

* 2차전지 관련 ETN 상품도 하락세를 보이며, 일부 레버리지 상품이 상장폐지 유의 종목으로 지정됨
머니투데이 올트먼 한마디에 천억 매수…서학·동학개미 '의료AI'로 몰려갔다 * 샘 올트먼이 의료용 챗GPT 개발 가능성을 언급하며 의료AI 관련 종목 관심 급증

* 서학개미들이 미국 의료AI 기업 템퍼스AI를 1,006억원 순매수하며 주요 투자 대상으로 부상

* 국내 의료AI 기업 보로노이 47.88% 상승, 루닛·제이엘케이·뷰노 등도 동반 상승
이데일리 ‘미치광이 트럼프’에 철렁…살얼음 걷는 韓증시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예고로 인해 한국 증시가 장중 2,500선 아래로 떨어졌으나 이후 낙폭을 회복하는 모습이 나타남

* 증권가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협상 카드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정책 변화 여부가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함

* 외국인 지분 비율이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가운데, 환율 안정화와 함께 외국인의 급격한 매도세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옴
뉴스1 삼전, 돌아온 외국인에 3.5% 상승…하이닉스는 2%대 하락[핫종목] * 삼성전자는 기관과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3.5% 상승하여 5만5,600원에 마감됨

* SK하이닉스는 기관과 기타 법인의 매도로 인해 2.4% 하락한 19만8,100원에 거래 종료됨

* 외국인 자금 유입에도 삼성전자 외국인 지분율은 49.89%로 50%를 회복하지 못함
뉴스1 레인보우로보틱스, 외국인·기관 1600억 순매도…7거래일 만에 하락[핫종목] * 레인보우로보틱스는 6거래일 연속 상승 후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차익 실현 매도로 하락 전환

* 외국인은 1,578억 원, 기관은 21억 원을 순매도했으며, 개인 투자자는 1,587억 원을 순매수

* 유일로보틱스(19.68%), 티로보틱스(9.93%) 등 다른 로봇 관련 종목들은 상승세 유지
서울경제 한화그룹, 1.3조 들여 한화오션 지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모은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의 지분 2,237만 주를 1조3,000억원에 매입할 계획이며, 3월 13일까지 거래 완료 예정

* 이번 지분 매입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율은 기존 23.14%에서 30.4%로 증가

* 한화그룹은 지분 통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책임 경영을 강화할 방침
이코노미스트 직장인 27%는 AI에 일자리 뺏긴다…의사·판사는? * AI 도입으로 직장인 27%가 일자리 대체 또는 소득 감소 위험에 노출되며, 사무직과 회계·경리 등 직종이 대표적으로 포함됨

* 의사, 금융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은 AI 도입 혜택을 크게 누릴 가능성이 높으며, 직업의 사회적·물리적 속성으로 인해 대체가 어려움

* AI 도입은 한국 경제 생산성을 최대 3.2% 증가시키고, GDP를 최대 12.6%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대기업과 업력이 긴 기업에서 효과가 두드러짐
뉴스1 이복현 "10년간 '대출 검사' 안한 문제 있어…DSR 3단계, 이르면 4월 윤곽" * 금융감독원이 10년간 개별 여신에 대한 검사를 하지 않아 3,875억 원 규모의 부당대출이 발생하며 비판을 받고 있음

* 금융당국이 지방 미분양 주택 관련 DSR 규제 완화 요청을 검토 중이며, 스트레스 DSR 3단계 세부안이 이르면 4월 발표될 예정임

*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의 3년 연임 결정에 대해 이복현 금감원장은 공정한 규준이 사전에 정해졌어야 한다는 아쉬움을 표명함
매일경제 실적 전망 오르며 외국인들 매수 들어오는 기계업종 * 지난해 기대에 못 미쳤던 기계업종이 올해 실적 전망이 오르면서 외국인 매수가 유입되고 있음

* 방산, 재건 및 로봇 관련 기업들이 개별 모멘텀을 받으며 주가 상승 중

* 현대로템,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에너빌리티, HD현대건설기계 등이 외국인 순매수 대상이 됨
매일경제 주말간 잠잠했던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발언에 출렁 [매일코인] * 비트코인은 트럼프의 추가 관세 발언 이후 9만6,000달러에서 9만4,000달러까지 하락 후 9만7,000달러까지 반등하며 변동성을 보임

* 10일 오전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은 9만6,180달러에 거래되며 트럼프 발언 직후 1시간 반 만에 2,000달러 급락한 후 저가 매수세로 반등

* 트럼프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며, 11일이나 12일 상호관세 발표 예정이라 밝힘
매일경제 “신사의 나라, 이젠 은퇴자의 천국이네”…수익률 한국의 두 배로 만든 비법 * 영국 정부는 연금 대형화를 통해 퇴직연금의 수익성을 높이는 개혁을 추진 중이며, 소규모 확정급여(DB)형 연금을 슈퍼펀드로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 영국은 퇴직연금 자산의 해외 유출을 막고 자국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141조원을 국내 스타트업, 인프라,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임

* 한국의 퇴직연금 가입률은 53%에 불과하며, 대부분 일시금으로 수령하는 반면 영국은 90%의 가입률과 연금 형태 수령을 장려하는 정책을 운영 중임
머니투데이 1년간 반토막 났는데 "더 내린다"…목표가 내리는 롯데케미칼 * 롯데케미칼 주가는 1년간 60% 하락하며 5만3,600원에 거래 종료, 장중 52주 최저가 5만1,800원 기록

* 2023년 영업손실 8,948억원, 순손실 1조8,020억원 발생, 3년 연속 적자 지속

* 증권사 9곳 중 7곳 목표주가 하향, 석유화학 시황 악화 및 공급 과잉으로 업황 반등 신호 부재
뉴스1 '환율 급등'에 비이자이익 급감…기업은행, '최대 실적' 달성 실패(종합) * 기업은행의 지난해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은 2조6,738억 원으로 전년 대비 0.1% 감소하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에 실패함

* 지난해 연결 기준 비이자이익은 2,421억 원으로 전년 대비 62.7% 급감했으며, 4분기에만 1,301억 원의 손실 발생

* 지난해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47조1,9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으며, 중기대출 시장 점유율 23.65%로 역대 최고 기록
머니투데이 주도주 공백에 로봇·유리기판주 반등…10조 넘은 코스닥 거래대금 * 코스닥 시장의 거래대금이 10조6,278억원을 기록하며 연초 대비 2배 가까이 증가,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

* 로봇 및 유리기판 관련주가 급등하며 시장 상승을 주도, 레인보우로보틱스 131.71%, 필옵틱스 151.51%, 와이씨켐 125.5% 상승

* 증권업계는 코스닥 시장이 과도한 조정을 받은 상태에서 반등 가능성을 기대, 중소형 성장주 중심의 상승세 예상
헤럴드경제 삼성전자, 기관+외국인 매수에 급등…본격 외국인 귀환은 아직 [투자360] * 삼성전자 주가 10일 3.54% 상승, 기관이 1,580억원, 외국인이 420억원 순매수하며 상승 주도

* 외국인 지분율 50% 미만 유지, 지난해 7월 56%에서 지속 감소하며 현재 49.99% 기록

* 외국인 삼성전자 매도세 지속, 2024년 12월부터 약 4조3,000억원 매도,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는 2조원 이상 순매수
비즈워치 100만원 미만 코인 해외 입출금도 확인한다 * 금융당국이 업비트에 대한 제재를 논의 중이며, 100만원 미만 가상자산 해외 입출금도 신원확인 절차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음

* FIU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해외 입출금의 75%가 100만원 미만이며, 총 74조8,000억원 중 60조원이 100만원 미만으로 송수신됨

* 업비트를 포함한 국내 거래소들이 100만원 미만 입출금 관리 강화를 검토 중이며, 빗썸 등도 정책 정비 중
한국경제 트럼프 '관세 폭탄' 피할 무풍 지대는…"소프트웨어·엔터"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한국 증권시장 리스크 증가, 투자자들은 관세 영향을 덜 받는 업종을 찾고 있음

* 소프트웨어·엔터·바이오 업종은 미국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AI와 신약 개발 기대감으로 투자 관심 증가

* 엔터·소프트웨어 업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고 이익 증가세 지속, 대형 아이돌 컴백으로 기획사 실적 개선 전망
비즈워치 삼성카드에 순익 1위 내준 신한카드, 희비 가른 '이것' * 신한카드의 지난해 순이익은 5,721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감소했으며, 희망퇴직 비용 증가와 연체율 상승으로 충당금 부담이 커짐

* 삼성카드는 비용 효율화를 통해 대손비용을 줄이며 순이익 6,656억원을 기록, 연체율 1%로 하락하며 건전성 지표 개선됨

* 신한카드는 플랫폼 사업 강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조직 개편을 단행, 페이먼트 경쟁력 확대에 집중할 계획
이데일리 미래·삼성 ETF 최저보수 싸우더니 딴 주머니서 이득 챙겨 *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ETF 최저보수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실제 투자 비용은 숨은 비용까지 고려해야 함

* 총보수 외에 수탁·감사·법률 비용을 포함한 총보수비율(TER)을 보면, KB·한투·신한 자산운용의 ETF가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남

* 투자자가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인 실 부담 비용률을 고려할 때,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 S&P500 ETF가 가장 낮은 비용 수준을 보임
한국경제 박현주 "비트코인 커버드콜 ETF 내놓겠다" * 미래에셋은 비트코인 커버드콜 ETF 출시를 준비 중이며, 상반기에 AI 기반 상품도 출시할 계획

* 글로벌 ETF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국·중국 등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투자 상품을 확대하려는 전략

* 비트코인 커버드콜 ETF는 콜옵션을 매도해 추가 수익을 얻는 구조로,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한국경제 기업은행, 지난해 순이익 2조6738억원…中企대출 240조원대 * 기업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2조6,738억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중소기업 대출 시장 점유율은 23.65%로 역대 최대치 기록

*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47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으며, 연체율은 0.8%로 상승했지만 대손 비용률은 0.47%로 감소

* 기업은행은 배당 성향을 최대 40%까지 확대하는 밸류업 계획을 추진 중이며, 올해 상반기 분기 배당 도입 계획
이데일리 [마켓인]한온시스템 인수 여파…한국타이어 5년만 공모채 조달 * 한국타이어는 한온시스템 인수와 해외 공장 증설을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5년 만에 최대 5,000억원 규모의 공모채 발행 계획

* 이번 공모채는 2년물 800억원, 3년물 1,700억원, 5년물 500억원으로 구성되며, 발행 금리는 민간채권평가사 기준 -30bp~+30bp 가산

* 지난해 한국타이어 매출은 9조4,119억원, 영업이익은 1조7,622억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했으나, 미국 관세 인상 가능성으로 실적 불확실성 존재
이데일리 10년물보다 낮은 30년물 금리…국고채 초장기물 강세 언제까지 * 국고채 30년물 금리가 10년물 금리를 밑도는 스프레드 역전 현상이 1년 7개월간 지속되며, 경기 둔화와 미국 관세 영향으로 초장기물 수요 증가

*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0년물 금리는 2.682%, 10년물 금리는 2.830%로 역전 폭이 -14.8bp이며, 국채 발행 증가와 추경 편성 부담으로 변동성 확대 가능성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와 국채발행계획 발표 이후 초장기물 금리 역전 폭이 일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물가 우려로 장기물 선호 지속
헤럴드경제 “삼성전자는 언젠가 오른다” ‘빚투 개미’ 베팅…‘1조 육박’ 신용잔고 3개월 만에 최대 [투자360] * 삼성전자 신용잔고가 9,888억원으로 3개월 만에 최고치에 도달하며, 종목별 빚투 증가 규모에서도 1위를 차지

* 개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삼성전자 주식을 1조4,362억원 순매수하며, 외국인은 2조1,156억원 순매도

* 삼성전자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98배로 떨어지며 3개월 만에 1배 이하로 내려가, 저가 매수세 유입 전망
비즈워치 미래에셋, 이중과세 문제 '공식 대응'...보수적 분배금도 해명 * 미래에셋증권은 개정 세법에 따라 연금계좌와 ISA에서 이중과세 가능성을 공지하며, 기획재정부가 개선방안을 검토 중이라 안내함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분배금 지급이 적었던 이유로 세법 개정 반영을 들며, 4월 말 잔여 분배금을 추가 지급할 계획임

* 현재 미래에셋 외에 다른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는 개정 세법과 관련된 공식적인 공지를 내놓지 않은 상황임
매일경제 “좋은 시절 끝났다”…애물단지 7형제로 전락한 빅테크 7총사, 이유가 * M7 기업의 지난해 4분기 이익 성장률이 22%로 4개 분기 연속 감소했으며, 2023년 4분기 56.8%에서 크게 하락함

* M7 기업들은 AI 투자 확대에 따라 자본지출을 크게 늘렸으며, 구글은 750억달러(약 108조원)를 책정해 전년 대비 43% 증가시킴

* AI 투자 성과에 대한 의심이 커지면서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부진하며, M7을 제외한 S&P500지수 수익률이 더 높게 나타남
조선비즈 불붙은 로봇주에 ‘빚투’ 차단 나선 증권사들 * KB증권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위탁증거금률을 기존 40%에서 100%로 상향 조정하며, 신한투자증권도 전진건설로봇과 로보티즈 등을 신용 불가 종목으로 지정

* 로봇주는 올해 상승률 상위 10개 종목 중 6개를 차지했으며, 레인보우로보틱스(152.3%), 한국무브넥스(146.9%), 에스피시스템스(126.4%) 등의 주가가 급등

* 2월 7일 기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신용잔고는 632억원으로 올해 51.6% 증가했으며, 클로봇(110억원), 한국무브넥스(61억원), 에스피시스템스(25억원)도 신용잔고 증가
이코노미스트 ‘1조 클럽’ 돌아온 대형 증권사 “서학개미 고마워” * 미래에셋, 삼성, 키움, 메리츠 등 대형 증권사들이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며 ‘1조 클럽’에 복귀

* 지난해 해외 주식 투자 증가로 증권사들의 해외주식 거래 수수료 수익이 확대되며 실적 개선에 기여

* NH투자증권과 KB증권은 1조 클럽에 들지 못했으나, 신한투자증권은 영업이익 3,725억원으로 전년 대비 47.2% 증가
아시아경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주식 1조3000억에 추가 취득"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오션 주식 2,237만5,216주를 약 1조3,000억원에 추가 취득할 예정임

* 이번 주식 취득이 완료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율은 30.4%로 증가함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지분 확대가 시너지 효과 증대 및 책임경영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밝힘
뉴시스 1억5000만원대 반납한 비트코인…추가 하락 가능성도 * 비트코인이 1억4,755만원까지 하락, 미중 무역 갈등이 가격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

* 온체인 분석업체 코인글래스, 9만3,000달러 하락 시 강제 청산 증가로 추가 하락 가능성 경고

* 스트래티지 설립자 마이클 세일러, 비트코인 추가 매수 암시하며 시장의 반등 가능성 언급
비즈워치 이복현 "우리금융 엄정 대응 유지…함영주 회장 연임, 주총서 판단"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우리금융의 부당대출이 소비자 보호 및 리스크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엄정한 대응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함

*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 과정에서 금융사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현실적인 부분을 조율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의 연임에 대해 기술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지배구조 개정 시점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주주총회에서 판단할 사항이라 언급함
한국경제 "지금 예적금 할 때가 아냐"…은행서 5조 빠져 나갔다 * 국내 5대 암호화폐거래소 예치금이 1년 새 5조2,154억원에서 10조6,561억원으로 104.32% 증가하며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자금 이동 가속화됨

* 5대 시중은행 예·적금이 두 달 새 26조원 감소하며 금리 인하로 인한 예·적금 매력 하락, 투자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되는 현상 나타남

* 법인의 암호화폐 투자 허용이 예상되면서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금융권이 암호화폐 시장과 연계한 계좌 서비스 제공 준비 중
헤럴드경제 트럼프發 관세 충격 버텨낸 코스피…2500 붕괴→2520대 ‘회복’ [투자360] * 코스피는 트럼프발 관세 충격 속에서도 2,520선 방어하며 장중 반등 시도

*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 151억원 순매수, 기관은 2,669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하방 지지

* 엔터주 상승, 한한령 해제 기대감 속 에스엠 5.37%, 스튜디오드래곤 5.10% 상승
매일경제 상폐 위기에 관리종목 됐는데…악재 겹치는 철강 ETF * 국내 철강 ETF 가격 하락 지속, KODEX 철강 ETF와 TIGER 200 철강소재 ETF 각각 1.24%, 0.87% 하락

* TIGER 200 철강소재 ETF, 순자산총액 50억원 미만으로 관리종목 지정, 6월 말까지 미달 시 상장폐지 위기

*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가능성 증가, 국내 철강업계는 미국 시장 수성 위한 대책 마련 필요
서울경제 모티브링크, '공모주 한파'에도 공모가 밴드 상단 6000원 [시그널] * 모티브링크가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1,076대1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6,000원으로 확정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가 중 97.34%가 6,000원에 주문을 넣었으며,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3.4%에 불과

* 2월 11~12일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 청약 진행, 2월 20일 코스닥 상장 예정
헤럴드경제 “1000만원 넣음 36만원 받는다” 연 3.6% 배당에 세금우대까지 ‘이 통장’ 정체는? [머니뭐니] * 상호금융권 출자금통장은 농협·새마을금고·신협 등에서 가입 가능하며, 금고별 배당률은 매년 총회에서 확정됨

* 출자금통장은 예금금리 하락 속에서 조합원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구조이며, 지난해 일부 금고는 5% 배당률 기록

* 출자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며, 중도 출금이 어렵고 조합원 탈퇴 후 결산 총회 이후에 환급 가능
이데일리 [코스피 마감]트럼프 관세 쇼크 소화…삼성전자 3% 반등 * 코스피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쇼크로 2,500선이 무너졌으나 장중 반등하여 2,521.24에 마감

* 기관이 2,669억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지지한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741억원, 2,773억원 순매도

* 삼성전자는 3.54% 상승해 5만5,600원에 마감했으며, SK하이닉스는 2.41% 하락, LG에너지솔루션은 3.12% 상승
파이낸셜뉴스 조정 받는 전력주… 개미 빚투 고개 ‘쑥’ * 전력주에 대한 신용거래융자가 증가하며, 산일전기(210억원), 일진전기(61억원), LS일렉트릭(60억원) 등의 신용잔고가 상승

* LS일렉트릭은 매출 4조5,518억원, 영업이익 3,897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 산일전기도 4분기 실적 최대 기록

* 증권가는 전력주가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으며, 국내 기업들은 초고압·송전 부문에 특화되어 데이터 센터 수요 의존도가 낮다고 평가
한국경제 "역시 K-Bangsan" 이틀 만에 30% 올랐다…난리 난 개미들[종목+] * 현대로템 주가가 이틀 동안 30.28% 상승하여 시가총액이 6조6,686억원에서 8조6,877억원으로 증가

*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1,6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7% 증가,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9만7,906원까지 상향

* 폴란드 K2 전차 수출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중동에서 18조원 규모의 추가 수주 가능성 전망
매일경제 치솟는 금 값에 ‘금 코인’ 주목…관세전쟁 이후 주요 코인 상회하며 불확실성 방어 입증 * PAXG와 XAUt 금 스테이블코인은 관세 전쟁 이후 2.48%, 2.42% 상승하며 불확실성 방어 수단으로 주목받음

* 비트코인은 같은 기간 6.36% 하락, 이더리움 21.48%, XRP 22.53%, 솔라나 13.93% 하락하며 가상자산 시장 전반적 하락세

* 씨티와 UBS는 올해 금 시세 전망치를 각각 2,900달러, 3,00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금 가격 추가 상승 가능성 언급
이데일리 "연말까지 금값 10% 더 오를 것…골드바보단 금ETF 추천" * 국제 금 시세가 트로이온스당 2,641달러에서 2,893달러로 9.5%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국내 금 시세도 g당 12만7,850원에서 14만7,820원으로 15.6% 증가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되면서 금값이 연말까지 10% 이상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

* 5대 시중은행 PB들은 금 투자 시 골드바 등 실물보다는 세금 혜택이 있는 금ETF, 금펀드, KRX 금 현물 계좌를 활용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조언
이데일리 美관세 불안에 달러 강세…환율 1450원대로 상승(종합) * 원·달러 환율이 1,451.2원으로 마감하며 전 거래일보다 3.4원 상승함

*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중국 보복 관세 10~15%가 발효됨

* 외국인 투자자가 코스피에서 2,700억원, 코스닥에서 1,000억원 규모 순매도하며 환율 상승을 지지함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