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경제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경제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전세계의 경제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제목 | 요약내용 |
SK증권 | 11월 고용: 멀리서 봐야 예쁘다 | * 11월 취업자 증가세 둔화, 제조업과 건설업 중심으로 감소 폭 확대 * 서비스업 고용 증가 지속, 숙박·음식업과 보건·사회복지업 중심 * 청년층 고용률 상승했으나, 60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고용 증가 주도 * 경제활동참가율 소폭 하락, 경기 둔화 우려 반영 * 상용직 증가에도 임시직 및 일용직 감소, 고용의 질적 차별화 지속 |
한화투자증권 | 11월 미국 고용: 예측 가능한 둔화 | * 11월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 22.7만 명 증가, 예상치 상회 * 의료서비스, 레저·관광, 제조업이 고용 증가 주도 * 경제활동참가율 62.5%로 소폭 하락, 실업률 4.2%로 상승 * 시간당 평균임금 0.4% 증가, 서비스업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 노동시장 과열 해소되며 점진적 고용 둔화 전망 |
키움증권 | 12/09 Weekly Macro | * 미국 11월 고용 22.7만 명 증가, 예상치 상회하며 양호한 흐름 유지 * 실업률 4.2%로 상승, 경제활동참가율 하락하며 노동시장 둔화 확인 * 12월 FOMC 금리 인하 전망 유지, 금융시장에서도 공감대 형성 * 미국 CPI 상승 둔화, 주거비 영향 완화로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지속 * 달러/원 환율 1,400원 초반 등락 전망, 국내 정치 불확실성 변수로 작용 |
키움증권 | 12/09, Kiwoom Morning Letter | * KOSPI 2,428.16으로 하락,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 순매도 *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 22.7만 명 증가, 실업률 4.2%로 상승 * 국제유가 하락, OPEC+ 증산 연기에도 과잉 공급 우려 확대 * 금 가격 상승,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반영 * 달러/원 환율 1,423.0원으로 상승, 국내 정치 불확실성 영향 |
대신증권 | 달러원 환율의 운명은 | * 국내 정치 불안 확대되며 달러/원 환율 급등, 높은 변동성 지속 * 미국 외 변수 영향 커지며 달러인덱스 방향성 예측 어려움 증가 * 유로존 금리 인하 가능성 대두,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국내 정치 불확실성으로 환율 하락 제한 * 달러/원 환율 당분간 높은 수준 유지, 대외 변수 경계 필요 |
하나증권 | 미국 11월 비농업 고용: not bad, but not good | * 미국 11월 비농업 고용 22.7만 명 증가, 예상치 상회하며 노동시장 견조 유지 * 실업률 4.2%로 상승, 경제활동참가율 62.5%로 하락하며 고용시장 둔화 신호 * 서비스업 임금 상승세 지속, 인플레이션 우려 속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 헬스케어, 정부 부문 및 제조업 고용 증가, 소매업은 두 달 연속 감소 * 12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전망 강화, 금리선물시장 인하 확률 85%로 상승 |
유진투자증권 | 미국 고용 - 기술적 반등 |
* 미국 11월 비농업 취업자 22.7만 명 증가, 10월 대비 큰 폭 반등 * 실업률 4.2%로 상승, 경제활동참가율 하락하며 고용 둔화 신호 * 시간당 임금 전년 대비 4.0% 상승, 서비스업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 허리케인 영향 해소로 채용 반등, 12월 FOMC에 큰 영향 미치지 않을 전망 * 고용시장 완만한 둔화 지속, 연준 금리 인하 전망 매파적 기조 유지 |
신한투자증권 | 신한 Econ Check-Up |
* 미국 11월 ISM 제조업지수 반등, 서비스업지수는 8월 이후 최저치 기록 * 프랑스 정치 불확실성 확대, 예산안 처리 강행 시사하며 시장 변동성 자극 * 한국 금융시장, 비상계엄 선포 후 변동성 확대, 탄핵소추안 표결 앞두고 혼란 지속 * 미국 11월 소비자물가 상승 예상, 연준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대두 * 중국 11월 수출 증가 지속, 연말 소비 시즌과 맞물려 선제적 수요 유입 전망 |
신한투자증권 | 신한 FX Check-Up |
* 원/달러 1,410원대로 상승, 정치 불확실성 확대에 일시적 급등 후 조정 * 달러화 106pt 내외 등락, 유럽 정치 이슈와 미국 지표 영향으로 방향성 모색 * 프랑스 총리 불신임으로 유럽 정치 불확실성 확대, 유로화 강세 제한 * 미국 11월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대두 * 원/달러 단기적으로 1,400원 초반 유지, 정치 리스크로 추가 변동성 가능성 |
DS투자증권 | 약해지는 고용, 약간의 노이즈를 곁들인 |
* 미국 11월 비농업 일자리 22.7만 개 증가, 전월 대비 반등하며 예상치 상회 * 실업률 4.2%로 상승, 경제활동참가율 하락하며 고용시장 질적 부진 심화 * 장기 실업자 및 영구 실업자 비율 상승, 노동시장 둔화 신호 지속 *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 유지, 2025년 말 기준금리 3.50% 전망 유지 * 고용 둔화에도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 확대, 내년 50bp 인하 가능성 고려 |
신한투자증권 | 양적 개선에도 질적 악화 경계 |
* 미국 11월 비농가취업자 22.7만 명 증가, 예상치를 소폭 상회하며 고용 양적 개선 * 실업률 4.2%로 상승, 경제활동참가율 하락하며 노동시장 질적 부진 심화 * 헬스케어, 레저업 고용 증가, 소매업 취업자 감소하며 업종별 고용 양극화 지속 * 장기 실업자 비율 상승, 단기 실업자 감소하며 노동시장 둔화 신호 확인 * 12월 FOMC 앞두고 금리 인하 기대 유지, 25bp 인하 가능성 높게 평가 |
대신증권 | 여전한 미국 예외주의 |
* 미국 대선 불확실성 해소 후 11월 제조업 경기 지표 개선, ISM 제조업지수 상승 * 미국 투입물 수요 증가했으나, 유로존 등 비미국 경제 회복 신뢰는 여전히 부족 * 유럽 정치 불안 지속, 독일 연정 붕괴와 프랑스 하원 불신임으로 경기 회복 지연 * 미국 주식 및 국채에 대한 자금 유입 지속, 달러 강세로 글로벌 교역 둔화 가능성 * 미국 경기 흐름은 양호하지만, 해외 수요 둔화가 미국 기업 실적에 부담될 가능성 |
iM증권 | 원화의 블랙홀이 된 국내 정치 불안 |
* 국내 정치 불안으로 원화 가치 급락, 달러-원 환율 1,423원까지 상승 * 외환당국 개입에도 원화 약세 지속, 추가 하락 기대 심리 확산 * 프랑스 정국 불안 진정되며 유로화 낙폭 회복, 달러 강세 둔화 * 미국 11월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 이번 주 달러-원 환율 1,410~1,460원 전망, 국내 정치 리스크 영향 지속 |
유진투자증권 | 정치에 발목을 잡힌 국장 |
* 국내 정치 불안 심화로 수출 둔화 및 내수 심리 악화, 경제 여건 불리한 상황 * 과거 정치적 혼란과 달리 현재는 수출과 내수 모두 부진, 경제적 불확실성 확대 * 원화 약세에도 수출 경쟁력 개선 효과 제한적, 정책 공백 우려 지속 * 방어적 업종인 소프트웨어, 필수소비재 강세, 경기 민감 업종은 부진 * 정치적 리스크 해소 전까지 시장 불안 지속, 대외 여건도 긍정적 신호 부족 |
iM증권 |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양털 깎기 |
* 탄핵 정국 장기화로 국가 신인도 하락, 외신과 IB들의 부정적 평가 확산 * 한국 증시의 외톨이 현상 심화, 코리아 디스카운트 및 외국인 투자 회피 증가 * 원화 약세 지속, 정국 불안이 금융시장 불안과 경제 둔화로 연결될 가능성 *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으로 경기 하방 압력 증가, 경제 성장률 둔화 우려 * 금융시장 안정과 신인도 회복을 위한 정책 대응 필요, 통화완화 정책 검토 필요 |
신한투자증권 | 탄핵 정국과 금융시장 영향 |
* 탄핵 정국 장기화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주식·채권·외환 시장 모두 약세 지속 * 원/달러 환율 1,380~1,480원 등락 전망, 정치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원화 약세 지속 * KOSPI 2,300~2,600p 변동 예상, 외국인 투자자 신뢰 회복 지연 * 국고채 금리 상승 압력 지속, 외국인 국채선물 매도 확대 가능성 * 한은 금리 인하 가능성 증가, 금융시장 안정화 위한 정책 대응 필요 |
대신증권 | 한국 국채는 안전자산 |
* 한국 국채 금리, 기준금리 대비 하회하며 추가 하락 가능성 존재 * 정치적 불확실성에도 한국 국채는 안전자산 지위 유지, 거래 원활히 진행 * 한국은행, 단기 유동성 공급 확대하며 국채시장 안정화 조치 진행 * 국채 금리는 시장 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진 후 통화정책 반영하며 하락 예상 * 국고채 단순매입 및 통안증권 환매 확대, 금융시장 안정 조치 지속 |
(네이버 증권 - 경제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10.(화) (0) | 2025.02.12 |
---|---|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9.(월) (0) | 2025.02.12 |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12.(수) (0) | 2025.02.12 |
(네이버 증권 - 경제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12.(수) (1) | 2025.02.12 |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5. 2. 11.(화)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