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9.(월)

증권사 리포트

by 조선아재 2025. 2. 12. 18:19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산업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산업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산업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제목 요약내용
대신증권 (IT)
불확실성 환경이 확대, IT기기 수요 부진
* 12월 둘째 주 IT 업종은 불확실성 환경으로 인해 횡보 또는 약세 전망이 이어짐

* SK하이닉스는 명확한 수요 및 실적 확인으로 상승세 지속, 주간 상승률 4.5% 기록

* 삼성전기는 MLCC 수요 회복과 기판 성장 기대감으로 주가 2.2% 상승

* AI 기업 주도 시장 강세 속 엔비디아, 세일즈포스 등 주요 기업 주가 상승

* IT기기 수요 둔화와 재고 조정 영향으로 4Q24 실적 부진 예상, 1Q25 이후 개선 기대
IBK투자증권 (건설)
[IBKS Weekly_TBM] CCUS 실증 사업 진행
* 주간 건설업지수 수익률 -6.69%, 코스피 대비 5.56%p 하회하며 하락세 유지

* 삼성E&A, 사우디아람코 및 영국 카본클린과 탄소포집 실증사업 진행, 비용 최대 50% 절감 기대

* 사우디는 탄소 배출 감축 위해 중유 발전소를 천연가스 발전소로 전환 계획 추진 중

* 한화,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재개, 공사대금 미지급으로 2년간 중단된 사업

* 폴란드, 내년 두 번째 원전 발주 예정, 한수원 후보군 포함, 미국·프랑스 기업과 경쟁
한화투자증권 (건설)
12월: 일단 멈춤
* 2024년 10월 국내 건설 수주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7% 감소한 14.0조 원이며, 10월 누계로는 0.1% 감소를 기록

* 전국 아파트 분양은 23.6만 세대 공급되었으며, 올해 25만 세대, 2025년 28만 세대 수준의 공급 예상

* 2024년 10월 MENA 지역 프로젝트 계약액은 2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7.6% 감소, 국내 건설사 해외수주액은 285억 달러로 11% 증가

* 10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000건으로 34% 증가

* 건설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을 'Positive'로 유지하며, 2025년 주택사업 정상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을 최선호주로 선정
신한투자증권 (건설)
신한 건설 Weekly (12월 1주차)
* 12/2~6일 건설업종 주가는 6.7% 하락하며 KOSPI 대비 5.6%p 언더퍼폼, 정정 불안과 주택 매수심리 악화 영향

* 현대건설, 2025년 도시정비사업 수주 6.1조원 기록, 2022년 이후 최대 규모로 브랜드 경쟁력과 금융력 바탕

* 주요 건설사 주가는 정책 불확실성으로 부진 예상, 금리·주택 수급 개선 시그널에도 단기 변동성 지속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이후 주택 관련 법안 국회 계류 장기화, 재건축 부담금 완화·임대차 2법 폐지 불투명

* 서울시, 8·8 주택공급 활성화 대책으로 지정된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거래허가구역 전면 해제, 일부 지역은 재지정
IBK투자증권 (게임)
[IBKS Daily] 인터넷/게임
* 네이버, UN 행사에서 AI 안전 정책 사례 공유, 'CHEC' 윤리 자문 프로세스 운영

*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최상위 국제 대회 PGC 2024 개최, 총상금 21억원

* 카카오, 최근 1주일간 11% 상승, PER 44.1배 기록

* 엔씨소프트, 1개월간 11.1% 하락, 연간 실적 전망 하향 조정

* 넷마블, 5.9% 상승하며 반등, 2024년 실적 개선 기대감 반영
하나증권 (게임)
AGF 2024: 축제 그리고 경쟁
* AGF 2024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고, 호요버스 불참에도 서브컬처 수요 증가 확인됨

* 국내 게임사들은 고 ARPPU 특성과 글로벌 시장 타겟팅을 이유로 서브컬처 게임 개발 확대 중

* 차별성이 부족한 신작의 성공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풀더빙·카툰렌더링은 기본 요건으로 자리잡음

* 2025년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다수의 서브컬처 게임을 출시할 예정이며, 경쟁 심화 전망

* 시프트업,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주요 게임사들의 신작 출시 일정과 기대 매출 성장성에 주목
하나증권 (기타)
2025년 수익성 개선 기대감 과도
여기에 업로드된 문서에서 요구한 조건에 맞춰 요약한 내용입니다:

* 11월 미국 전기차 판매는 YoY +15% 증가했고, GM은 YoY +170%, MoM +32% 증가하며 저가 모델 Equinox 판매 본격화됨

* 2025년 IRA 세액공제 폐지 가능성으로 연말 전기차 수요 증가 예상, 관련 기업 주가 트레이딩 기회 있을 가능성 높음

* 내년 1분기 트럼프 취임,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공매도 재개 등의 악재로 리스크 관리 필요

* 포스코퓨처엠 부채비율 192%, 엘앤에프 255% 상승하며 영업이익 증가에도 순이익 및 EPS 개선 기대 어려움

* 미국 에너지부(DOE), 삼성SDI·Stellantis JV에 75.4억달러 대출 결정, 트럼프 정부의 DOGE가 대출 조사 계획 발표
하나증권 (기타)
내우외환
* 트럼프 당선 이후 국내 방산 5개사의 합산 시가총액이 11월 말까지 -17.2% 하락하며 주가 변동성 확대

* 국내 정세 혼란으로 방산 업종 주가가 재차 하락하며 방산 -10.5%, KOSPI -2.9% 기록

* 미국, 일본, 영국 등이 한국 방문 주의보를 발령하며 방산 수출 계약 기대감 약화

* 방산 산업이 내수 중심에서 글로벌 수출 산업으로 변화하며 국가 브랜드 영향력 확대

* 실적 성장세 및 해외 수주 기대감이 높은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한 관심 필요
유진투자증권 (기타)
트럼프정부의 IRA 수정 방향 예상
* 트럼프 행정부의 IRA 폐기는 공화당 내 반대가 많아 사실상 어려운 상황

*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리스 및 중고차 포함하여 점진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큼

* 배터리 보조금 및 클린에너지 세액공제는 대규모 투자와 연동되어 있어 축소 가능성은 낮음

* 중국 배터리 및 태양광 업체의 미국 시장 진입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짐

* 대한민국 기업들은 미국 시장 진입으로 인한 장기적인 이점을 누릴 가능성이 있음
유진투자증권 (기타)
한국 로봇 수출 점검
* 10월 한국 로봇 수출액 누계는 199.8M USD로 전년 대비 32% 증가하며 성장세 유지

* 로봇 수출 주요 지역은 미국, 인도, 멕시코, 베트남, 중국 순이며 해외 제조 투자와 높은 연관성 보임

* 한국 로봇 산업은 여전히 내수 중심 구조로,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영업망 구축이 필요

* 두산로보틱스는 생성형 AI 기반 로봇 프로그래밍 효율화를 추진하며 자동화 시장 대응

* 정부는 2026년까지 로봇 산업 지원을 위해 8,5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
DS투자증권 (반도체)
ASIC 칩과 커스텀 HBM의 구조적 성장
* 2025년 AI 하드웨어 시장에서 ASIC 칩이 핵심 기술로 자리 잡으며, 빅테크 기업들이 자체 칩 개발을 강화하는 추세임

* NVIDIA 칩 수요는 지속되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AI 연산에 최적화된 ASIC 칩 활용이 증가하는 양상임

* HBM4부터는 맞춤형 HBM이 본격화되며, 빅테크 기업들이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커스텀 메모리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강해짐

* SK하이닉스는 HBM4 베이스 다이 제작을 위해 TSMC와 협력하며, 3D 패키징을 활용한 맞춤형 메모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 미국 상무부의 대중국 HBM 수출 금지 조치로 인해, 미국 빅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한 HBM 점유율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
유진투자증권 (반도체)
Dynamic Random Access Korea
* MRVL, PSTG, HPE 등 AI 관련 기업들의 실적 호조로 시장 관심 증가

* HBM2 수출 규제 발표로 삼성전자 실적에 영향 불가피

* 탄핵 정국 장기화와 정치적 리스크로 한국 증시 회복 어려움

* CXMT 블랙리스트 제외로 실망감, 17.8나노 이하 장비 규제는 긍정적 요소

* 글로벌 지경학적 변화와 대주주 리스크가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
키움증권 (반도체)
Synopsys Inc (US: SNPS): ASIC AI chip 수요 확대 지속
* Synopsys Inc의 4Q24FY 매출액 $1.64B, 영업이익 $0.60B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와 부합

* AI 및 HPC 칩 설계 부문 강세 지속, 산업·자동차·소비자 전자 제품 수요는 완만한 회복세

* 1Q25FY 가이던스는 매출 $1.44B~1.47B, EPS $2.77~2.82로 시장 예상 하회

* 2025FY 매출 $6.75B~6.81B, EPS $14.88~14.96 전망하며 AI·HPC 성장 기대

* ASIC AI chip 채택률 증가, HBM 수급 안정화 및 blended ASP 상승 기여 예상
하나증권 (반도체)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
* 미국 상무부, 대중국 수출 규제 발표하며 반도체 제조장비, 소프트웨어, HBM 등 140여 개 기업 포함

* 국내 정치 불확실성 확대되며 비상 계엄령 선포, 6시간 후 해제되었으나 환율 상승과 부정적 수급 환경 지속

* Marvell, 12월 3일 실적 발표하며 매출 15.2억달러 기록, AWS와 전략적 관계 확대로 ASIC 및 광학 DSP 수요 증가

* Synopsys, AI 및 HPC용 반도체 설계는 견조하나 산업·자동차·가전향 수요는 부진하며 25년 가이던스 컨센서스 하회

* TSMC 11월 매출 발표 예정, Nvidia Blackwell 양산 및 ASIC 업체 램프업으로 호실적 기대
iM증권 (석유화학)
기름뿜뿜 Weekly: 효성티앤씨-효성화학 NF3 합병검토 관련 코멘트
* 사우디는 OSP 인하를 통해 시장 점유율 탈환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음

* OPEC+ 감산 연장은 결정되었지만 회원국들의 초과 생산 지속으로 실효성 의문

* 효성티앤씨는 효성화학의 NF3 사업 인수를 검토 중이며, 인수금액은 약 1조원 예상

* 미국 쉘오일 업체들의 BEP가 낮아지면서 사우디와의 경쟁 구도가 변하고 있음

* 정유사들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2025년 아시아 OSP 인하 가능성 높아짐
하나증권 (석유화학)
트럼프2.0 시대의 심해시추
* 트럼프2.0 정부에서는 미국 내 원유 및 가스 생산 확대를 위해 시추 규제를 완화하고 연방 토지 임대 허가를 가속화할 계획

* 심해시추 투자가 증가하며 2024년 Capex는 1,040억$로 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 2027년에는 1,400억$까지 증가할 전망

* 주요 기업인 Shell과 Chevron은 멕시코만, 말레이시아, 브라질 등지에서 심해 시추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으며 기술 개선으로 원가 절감 중

* 미국 심해시추 확대 정책으로 관련 장비 및 서비스 업체인 Transocean, Noble, Schlumberger, 그리고 한국 조선·철강 업체가 주목받을 가능성

* 바이든 정부의 해양 시추 규제에 따라 2024~2029년 동안 승인된 시추 임대 건수는 역대 최저 수준이나, 트럼프2.0에서는 대폭 확대 가능성
하나증권 (유통)
2024년 예상 배당 및 업황 동향
* 2024년 유통/의류 업종 배당금은 전년 대비 0.7% 증가, 평균 배당성향 103% 예상

* 백화점·의류업체 10~11월 실적 부진, 편의점은 2% 수준 반등

* 12월 소비심리 둔화 예상, 단기적으로 방어주 중심 투자 전략 제시

* 2024년 1분기 이후 백화점 성장 반등 전망, 현대백화점·F&F 추천

* GS리테일·현대백화점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 발표 예정
하나증권 (은행)
외국인만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상황
*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하루 만에 주요 은행에서 1조2,600억원 규모 외화 예금이 이탈하며 환율 급등세가 이어짐

* 금융당국이 전세대출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하며, 내수시장 위축을 방지하려는 조치

* 외국인은 지난주 KOSPI에서 5,740억원을 순매도했으며, 은행주에서만 3,690억원을 순매도하며 금융시장 불안정성이 확대됨

* KB금융과 신한지주가 외국인 매도세의 주 타겟이 되었으며, 반대로 BNK금융은 외국인 순매수로 주가가 5.5% 상승함

* 금융당국은 밸류업 정책이 후퇴하지 않을 것이라 밝히며, 외국인 순매도세가 진정될 때까지 시장 안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하나증권 (음식료)
11월 수출 데이터 Re
* 11월 라면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29.5% 증가한 1억1,758만 달러 기록, 미국과 중국 수출이 각각 93.4%, 10.8% 증가하며 성장세 지속

* 11월 담배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4.0% 증가한 4,869만 달러 기록, 연간 누계 성장률은 5.6%로 안정적 흐름 유지

* 11월 김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11.9% 증가한 6,918만 달러 기록, 김치 수출액도 12.0% 증가하며 1,321만 달러 달성

* 11월 소주 수출액은 레귤러 제품이 전년동월대비 1.4% 감소한 1,110만 달러, 과일 소주는 4.2% 증가한 1,207만 달러 기록

* 11월 누계 기준 수출 성장률은 라면 29.8%, 김 25.2%, 소주 5.0%로 나타나며, 가공식품 수출 성장세 지속
키움증권 (음식료)
키움 음식료 Weekly (12/9)
* 역대 탄핵 국면에서 소비심리 급락하며 내수 위축 가능성 제기

* CJ제일제당, 컵우동을 유럽에서 출시하며 글로벌 누들 시장 공략

* 계엄 선포 이후 편의점 비상식량 및 생필품 매출 최대 300% 증가

* 농심, 인도네시아 MZ 소비자를 대상으로 브랜드 확장 행사 진행

* CJ제일제당 해외 식품 사업 연매출 6조원 돌파 기대, 유럽 시장 확대
신한투자증권 (인터넷포탈)
12월 온라인 광고/커머스 지표 확인
* 12월 광고경기전망지수 99.1로 전월 대비 하락, 온라인 채널 전망도 98.8로 부정적 흐름 지속

* 10월 소매판매액 48조원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0.6% 증가에 그침

* 10월 포털 및 인터넷 서비스업 지수 168.3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 8~9월 0%대에서 반등

* 커머스 시장 패션·화장품 거래액 감소, 경기 둔화로 11~12월 전망도 부정적

* 인터넷 기업 주가 상승은 펀더멘털 개선 아닌 수급 영향, 연말 리스크 관리 필요
유진투자증권 (자동차)
롯데렌탈, 1위 사업자의 프리미엄은 다르다!
*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는 롯데렌탈 지분 56.2%를 15,729억원(주당 77,115원)에 인수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함

* 롯데렌탈 기업가치는 약 2.8조원으로 평가되었으며, 12월 6일 종가 대비 131%의 프리미엄이 부여됨

* 어피니티는 렌터카 시장 1, 2위 사업자 인수를 통해 렌탈 사업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중고차 사업 확장을 계획함

* 롯데렌탈은 중고차 렌탈 및 매매업을 통해 장기적으로 ROE 15% 달성을 목표로 차량 가치 극대화를 추진 중임

* 롯데렌탈의 목표주가는 기존 3.5만원에서 4.6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사모펀드 인수로 인해 주가 반등이 예상됨
하나증권 (전기전자)
소외되는 한국 테크
* 한국의 테크 기업들은 수요 둔화로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주가가 낮은 경향을 보인다.

* LG전자는 블랙프라이데이 종료 후 멕시코 관세 부과 등의 이유로 주가 하락을 겪었으나, 글로벌 경쟁력에 비해 주가 낙폭이 큰 점이 의문이다.

*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스마트폰 채널 재고 부담 및 경쟁으로 인해 주가 상승 모멘텀이 제한된 상황이다.

* 코스닥에서 서울반도체는 유일하게 주가가 상승하며 다른 중소형주들과 차별화된 성과를 보였다.

* 글로벌 테크 기업들은 AI 관련 수혜를 받아 주가 상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Wiwynn은 AI 서버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
하나증권 (조선)
주요 지표 업데이트
* 신조선가 지수는 12월 6일 기준 189.14pt로 9월 27일 189.96pt 이후 완만한 하락세 유지 중

* Containership 신조선가 지수는 117.87pt로 27개월 연속 상승, Gas Carrier 신조선가 지수는 207.04pt로 하락 지속

* LNGC 신조선가는 2.60억달러 수준 유지, VLGC 신조선가는 1.22억달러로 WoW -50만달러 하락

* 후판 가격은 10월 단기 반등 후 재차 하락, 국내 포스코 유통가격은 910원/kg, 수입 유통가격은 750원/kg 기록

*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잔고는 선가 상승 반영 물량 포함, LNG 시대 개화로 신규 수주 확대 기대
SK증권 (조선)
한수위: 인도의 'Maritime Amrit Kaal Vision 2047'
* 인도 정부는 ‘Maritime Amrit Kaal Vision 2047’ 추진을 통해 1,300조원을 투자하여 해양산업 발전과 4,000만 개 일자리 창출 계획

* 인도는 ‘47년까지 해상운임 비용을 현재의 3분의 1로 줄이는 목표를 설정하고, 국영 해운사 설립과 선박 확보 계획 진행 중

* 선박 건조 지원책으로 선박 재활용 크레딧과 신조선가 보조금 제공, 친환경 선박에는 최대 30%의 보조금 지급

* 인도 조선소는 글로벌 경쟁력이 낮고, 원가 경쟁력에서 중국보다 25%p 열위에 있으며, 고난이도 선박 건조 역량 부족

* 한국과 일본 조선사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인도 조선업 발전을 도모할 가능성이 있으나, 국내 조선 3사의 인도 시장 진출 가능성은 제한적
iM증권 (철강금속)
Steel Weekly (12월 2주차)
* 중국 철강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며 12월 중순 이후 유통 재고가 증가할 전망

* 주요 철강사 주가는 상승했으나 선물 및 철광석 가격은 부진하며, 경제공작회의 부양책 기대감은 낮음

* 동남아 철강 가격은 보합세이며, 베트남 호아팟은 2~3월 열연강판 가격을 8달러 인하

* 인도 철강부는 일본, 한국, 아세안 철강재에 25% 세이프가드 관세 부과를 제안

* 북미 철강 가격은 약세를 보였으며, EU 철강 가격은 보합세 유지
하나증권 (철강금속)
중국 철강 PMI 하락, 연말 제품가격 하락 압력 직면
* 중국 철강 PMI가 11월 50.6포인트로 4.0%p 하락하며 철강 생산과 원재료 가격 하락 영향 반영됨

* 중국 철근 유통가격은 하락세 지속되었지만 한계원가에 근접하여 추가 하락 가능성은 제한적

* 국내 철강가격은 중국산 수입가격 하락과 내수 부진 영향으로 대부분 제품이 약보합세 기록

* 11월 중국 철강사 및 유통업체의 철근 재고가 450만톤으로 증가하며, 동절기 추가 증가 예상

* 글로벌 철강사 주가는 국가별로 차별화되었으며, 철강가격은 뚜렷한 방향성 없이 보합세 유지
SK증권 (철강금속)
철강/비철 Weekly Scene Steeler: 점차 들려오는 반가운 소식
* 지난주 중국 철강 가격은 냉연 +0.6%, 후판 +0.2%, 철근 -0.9% 변동하며, 중앙경제공작회의 기대감에 상승세 유지

* 중국 유통 철강 재고는 9주 연속 감소하며 2021년 초 이후 최저치를 기록, 계절적 비수기에도 가격 지지 요인으로 작용

* 11월 중국 주요 20개 도시 기존 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11.7%, 신규 주택 판매는 전년 대비 +15% 증가하며 부동산 시장 회복세

* 2025년 구리 BM TC는 $21.25로 2024년 대비 73.4% 하락, 미국·인도네시아의 정광 수입 제한으로 중국 구리 감산 기조 강화 예상

* 철광석 가격은 $103, 철광석 선물 가격은 $104로 소폭 상승, 원료탄 가격은 $210으로 유지되며 철강 원재료 가격도 동반 상승
하나증권 (항공운송)
11월 인천공항 수송실적: 비수기에도 굳건한 수요
* 11월 인천공항 여객수송실적 589.3만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 2019년 동월 대비 7% 증가

* 일본, 동남아, 중국 여객수송량 각각 21%, 11%, 44% 증가, 미주와 유럽도 15%, 4% 증가

* 11월 화물수송실적 25.9만톤으로 전년 대비 6% 증가, 미주, 중국, 동남아에서 증가, 유럽은 2% 감소

* 중국 무비자 정책 시행됐으나 여행 증가 효과 관찰되기에는 아직 이른 시점

* 항공여행 수요는 견조한 흐름 유지, 항공산업 중장기 전망과 항공사 재편 모멘텀 주목 필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