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경제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 1. 20.(월) 올라온 경제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전세계의 경제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제목 | 요약내용 |
SK증권 | [2025 수정 경제전망] 트럼프 vs 파월 vs 경기 삼파전 | *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를 4.25~4.50%로 인하했지만, 인하 횟수는 기존 예상보다 줄어들며 매파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음 * 2025년 상반기 미국 기준금리 인하로 제조업 경기가 회복되며 글로벌 경제에 낙수효과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됨 *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은 주요 정치 이벤트와 함께 경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며, 정부 셧다운 가능성도 제기됨 * 한국 수출은 상반기 둔화되지만 하반기에는 미국과 중국의 경기 회복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크며, 1,415원의 연평균 환율이 전망됨 * 미국 내 물가 안정은 난이도가 높아졌고, 서비스 물가 디스인플레이션이 주요 과제가 되고 있음 |
키움증권 | 01/20, Kiwoom Morning Letter | * KOSPI는 2,523.55로 마감하며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에서 모두 혼조세를 보임 * SK하이닉스는 5.41% 상승하며 기술주의 회복 가능성을 보여줌 *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 WTI 원유는 배럴당 77.88달러로 하락했으며, 달러 강세와 차익 실현 매물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 *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588%로 하락하며 외국인의 대량 순매수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 |
한화투자증권 | 4/4분기 중국 GDP: 결국은 해낸 5% | * 4분기 중국 GDP는 전년 동기 대비 5.4% 성장하며 정부 목표치를 초과했으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장세가 함께 강화되고 있음 * 12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하며 가전제품(39.3%)과 통신기기(14.0%) 소비가 회복세를 주도 *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6.2% 증가하며 민간기업의 생산이 국영기업 대비 더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자동차 생산은 17.7% 상승 *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누계 대비 3.2% 증가했으나 부동산 투자는 -10.6%로 감소하며 회복 조짐이 약함 *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소비 진작과 재정·통화정책 강화를 약속하며 소비 주도의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유진투자증권 | 2024 中 성장 목표 달성 | * 2024년 중국 GDP 성장률은 5%를 기록하며 목표를 달성했으며, 4분기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5.4%로 시장 기대치를 초과 * 12월 중국 수출은 3조5,80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무역흑자는 9,895억 달러로 집계됨 * 산업생산은 12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6.2% 증가했으며, 자동차와 전기장비 생산 증가가 두드러짐 * 소매판매는 12월 기준 3.7% 증가했으며, 가전제품 판매가 39.3% 상승하며 소비 회복세를 이끌고 있음 * 고정자산투자는 1~12월 기준 3.2% 증가했지만, 부동산 투자는 -10.6%로 감소하여 구조적 회복의 필요성이 제기됨 |
신한투자증권 | 2025년 외환시장 수정 전망 | * 2024년 원/달러 환율은 대내외 요인으로 1,400원대를 돌파했으며, 미국의 강한 경기 모멘텀과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이 상승세를 이끈 주요 배경 * 2025년 원/달러 환율은 연중 평균 1,420원으로 예상되며, 하반기에는 대내외 경제 여건 개선에 따라 완만히 하락할 것으로 전망 *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은 대외적 관세 부과와 확장 재정의 물가 상승 우려로 강 달러를 촉발했으나, 실질적 관세 시행 지연 가능성이 존재 * 유로존은 경제 성장 둔화와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2025년 달러/유로 환율은 평균 1.05달러로 하향 조정될 전망 * 일본은 디플레이션 탈피와 임금 인상 지속으로 가계 소비 심리가 개선되고 있어, 엔/달러 환율은 149엔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됨 |
DS투자증권 | 고래의 성장에 새우 등 터진다 | * 미국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상회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실질임금 하락과 향후 소득 증가 기대감 저하로 소비 증가 폭이 둔화될 가능성이 큼 * 미국의 강달러 현상은 유럽 및 신흥국 등 다른 지역에 긴축적인 금융 환경을 조성하며, 달러 표시 부채 부담이 많은 국가에 특히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임 *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과 미국의 상대적 성장 우위로 인해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는 투자와 소비 시점이 지연되며 경제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 * 코로나 이후 IMF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의 잠재성장률은 상승했으나, 유럽과 중국은 하락하며 구조적 저성장이 우려됨 * 달러 강세와 미국 중심의 성장은 지속 가능성이 낮으며, 달러 약세 전환은 미국 이외 지역의 경기 회복 속도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 |
유진투자증권 | 마침내 그가 온다 | * 트럼프 2기 정책은 감세보다 관세와 이민 관련 행정명령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으며, 정책 변동성이 초기 집중될 것으로 예상 * 미국 AI 민간 투자는 672억 달러로, 중국의 77억 달러에 비해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등 압도적인 투자 격차가 확인됨 * 트럼프 2기 초기에는 정책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보이며, 국내 산업재 및 내수 관련 업종은 트럼프 1기에 비해 저평가된 상태 * 2017년 트럼프 1기 감세 정책은 미국 증시 상승을 이끌었으나, 관세 정책이 도입되면서 변동성이 확대되어 국내 증시도 약세를 보임 * 현재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는 AI 등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 주요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
신한투자증권 | 신한 Econ Check-Up | * 미국 12월 비농업취업자는 25.6만 명 증가하며 예상치(16.0만 명)를 크게 초과했으며, 내구재 및 서비스 부문 물가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 한국 1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3.00%로 동결했으며, 경기 하방 위험과 금융시장 불안을 고려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음 * 중국 4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5.4%로 컨센서스를 초과했으며, 서비스업 중심의 반등이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음 * 미국 트럼프 정부의 정책 구체화는 고관세와 반이민 등 행정명령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며, 에너지 생산 확대는 규제 완화에도 시차가 있을 전망 * 일본은 BOJ가 금리 인상을 고려 중이지만 대외 경기 하방 위험을 반영해 동결 가능성도 상존하며, 정책 조정 시점을 조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신한투자증권 | 신한 FX Check-Up | * 달러화는 109pt 내외에서 등락하며 방향성을 상실했으며, 미국 고용지표 호조와 소비자물가 예상치 하회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감소 * 원/달러 환율은 1,450원대에서 안정세를 보이며, 한국 금통위가 금리 동결을 시사함에 따라 대내외 금리 역전 폭이 축소되고 있음 *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및 확장 재정 정책은 금리 상승과 강달러 요인으로 작용하나, 실제 관세 부과는 하반기로 지연될 가능성이 있음 * 일본 BOJ의 금리 인상이 시장 컨센서스로 형성되었으며, 엔화 강세는 금리 인상 후에도 제한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 *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신흥국 통화는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였으며, 주요국 통화 중 일본 엔화는 강세, 유로화는 약세를 기록하며 혼조세를 보임 |
유진투자증권 | 저가 매수 타이밍 - 저평가된 낙폭과대 종목 선별 | * 외국인 액티브 자금은 연초부터 매수세로 전환되었으며, 코스피는 하락 추세를 벗어나 60일 이동평균선 위로 안착하며 안정화 신호를 보임 * 철강, 소매(유통), 자동차, 필수소비재, 호텔/레저서비스는 외국인 매도세가 완화된 저평가 업종으로 상승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됨 * 외국인과 기관 자금이 집중되고 있는 KG모빌리티, POSCO홀딩스, 현대위아, 파라다이스, 하림지주는 회복 가능성이 높은 투자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음 *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대형주 강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대형주 중심의 상승이 시장 안정성을 뒷받침하며 추가 상승 잠재력을 제시함 * 저평가된 낙폭과대 종목 중 외국인과 기관의 수급이 동시에 개선된 종목은 단순 낙폭 종목보다 회복 가능성이 높아 투자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음 |
iM증권 | 트럼프 2기 첫 행정명령 주시 | * 트럼프 2기 첫 행정명령은 불법 이민 차단, 보편적 관세 도입, 대중국 관세 강화, 에너지 개발 확대, 친가상화폐 정책 등 주요 조치를 포함할 예정 * 보편적 관세 조치가 선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제기되며, 대중국 관세 정책은 협상 여부에 따라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 에너지 시추 관련 행정명령은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의 하향 안정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으며, 물가 및 미국 국채 금리에 영향을 미칠 전망 * 비트코인 가격은 트럼프의 친가상화폐 정책 가능성에 따라 변동성을 보이며, 기술주 상승에도 연관성을 가질 수 있음 * 달러-원 환율은 트럼프 행정명령 발표와 국내 정치 리스크에 따라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으며, 금융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유진투자증권 | 트럼프 취임과 미국 채권시장 | * 트럼프 취임과 동시에 관세 및 미국채 발행계획이 채권시장에서 주요 이벤트로 주목되며, 관세 도입의 점진적 진행 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 * 미국 10년 금리는 고용 충격 상승분을 반납했으며, 현재 4.6%대에서 안정화되고 있어 명목 성장률과 물가를 고려할 때 저평가된 구간으로 평가됨 * 한국은행은 1월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며, 국내 정치적 리스크와 환율 불안을 고려해 성장보다 환율 안정에 초점을 맞춘 결정으로 평가됨 * 미국의 12월 근원 CPI 둔화는 인플레이션 불안을 완화시키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유로존은 실질임금 반등에도 불안한 경기 전망과 소비심리 회복 지연으로 내수 반등 시점이 늦어지고, 미국과의 성장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 |
iM증권 | 트럼프 행정명령과 달러화 | * 12월 미국 소비자물가가 시장 우려를 완화하며 달러화 지수는 소폭 하락했으며, 미국 국채 금리도 하락 전환하면서 금리 발작 리스크가 감소함 * 달러-원 환율은 1,450원대로 하락했으며, 소비자물가 안정,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국내 CDS 프리미엄 하락 등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함 * 트럼프 2기 행정명령 내용은 국채 금리와 달러화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며, 엔화는 일본은행 금리 인상 기대감에 반등을 기록함 * 중국 4분기 GDP 성장률이 5.4%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초과했으며, 트럼프와 시진핑 간 통화가 위안화 강세를 뒷받침함 * 금주 달러-원 환율은 트럼프 2기 정책 내용과 1,430~1,480원의 밴드 내에서 변동 가능성이 있으며,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임 |
(증권사 리포트 매일 훑어봅시다) 네이버 증권에 올라오는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1. 21.(화) (0) | 2025.01.21 |
---|---|
(증권사 리포트 매일 훑어봅시다) 네이버 증권에 올라오는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1. 20.(월) (0) | 2025.01.20 |
(증권사 리포트 매일 훑어봅시다) 네이버 증권에 올라오는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1. 17.(금) (0) | 2025.01.17 |
(증권사 리포트 매일 훑어봅시다) 네이버 증권에 올라오는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1. 17.(금) (0) | 2025.01.17 |
(증권사 리포트 매일 훑어봅시다) 네이버 증권에 올라오는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1. 16.(목) (1)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