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경제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경제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전세계의 경제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제목 | 요약내용 |
한화투자증권 | 11월 미국 CPI: 천천히 약해진다 | * 11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7%, 근원 물가는 3.3% 상승하며 예상치에 부합 * 중고차, 소고기, 계란 등 일부 상품 가격 상승했으나 전체 상품 물가 상승 압력은 크지 않음 * 서비스 물가는 주거비 상승 둔화로 하락했으나 여가 서비스 등 일부 부문은 여전히 상승세 유지 * 내구재·비내구재·에너지 물가가 최근 상승 전환되며 물가 하락 기여도가 점차 약화되는 중 * 실질임금 상승과 금리 인하 가능성이 소비 심리를 자극하며 물가 둔화 속도가 완만할 전망 |
키움증권 | 12/12, Kiwoom Morning Letter | * 코스피는 기관 매수세에 2,440대 회복, 탄핵 정국 혼란 속에서도 반등 흐름 유지 * 미국 11월 CPI는 시장 예상치 부합, 헤드라인 +2.7%, 코어 +3.3%, 주거비 상승 둔화 * 원유 재고 감소 및 러시아 추가 제재 전망으로 WTI 70.29달러로 상승 * 달러/원 환율 1,432.20원으로 상승, 미국 CPI 앞둔 경계감 속 외환당국 개입 * 미국 증시는 대형 기술주 상승 주도, 나스닥 +1.77%, S&P500 +0.82%, 다우 -0.22% |
iM증권 | 디스인플레이션 정체와 금리인하 속도 조절론 | * 11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 코어 물가는 3.3%로 예상치에 부합하며 디스인플레이션이 정체된 모습 * 식료품·에너지 가격 상승과 숙박료 인상이 헤드라인 소비자물가 상승폭 확대에 영향을 미침 * 슈퍼 코어 소비자물가는 정체 흐름을 유지하며, 기대 인플레이션도 12월 반등하는 모습 * 12월 FOMC 회의에서 25bp 금리인하가 예상되지만, 금리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이 높아짐 * 미국 경제 호조와 주식시장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 연준은 신중한 금리 정책을 유지할 전망 |
DS투자증권 | 문제는 공급이야 | * 11월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은 3% 수준으로 안정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크게 완화된 상황 * 실질 임금 상승과 소비 심리 개선이 지속되면서 미국 내 민간 소비는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 글로벌 공급망 압력 지수는 마이너스 수준을 유지하며, 유가 급등 등 공급발 인플레이션 요인은 제한적 * 주거비 상승세가 둔화되며, 향후 물가 상승 압력이 점진적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에 따라 2024년 시장은 추가 금리 인하보다는 속도 조절에 주목할 전망 |
유진투자증권 | 미국 CPI - 12월 인하만 지지 | * 11월 미국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7% 상승하며 시장 예상과 일치 * 식품(+0.4%)과 중고차(+2.0%) 가격 상승이 헤드라인 물가 상승을 견인 * 서비스 인플레이션 둔화로 주거비 상승률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 기록 * 12월 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으나, 연준은 긴축적 정책을 유지할 필요성이 높아짐 * 최근 미국 경기 상황과 인플레이션 흐름을 고려할 때 금리 인하는 점진적으로 진행될 가능성 있음 |
신한투자증권 | 양호한 경기에도 물가 상승 제한 | * 11월 미국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7%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상승폭 확대 * 식료품(+0.4%), 에너지 재화(+0.5%) 가격 상승으로 물가 압력이 일부 반등하는 모습 * 서비스 물가는 0.3% 상승하며 둔화, 주거비 상승폭 축소와 운송·교육 서비스 안정 효과 영향 * 비대면 서비스 및 재화 부문 수요 회복이 물가 반등을 견인하며 물가 하향 속도 완만해지는 중 * 12월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 증가, 물가 안정 지속 시 추가 인하 기대감 유지 |
신한투자증권 | 한국 수출 품목별 중국 밀어내기 영향 점검 | * 중국의 저가 수출 공세로 인해 한국의 석유화학, 철강, 섬유, 석유제품, 차부품, 2차전지 수출 단가 하락이 지속됨 * 중국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에 저가로 제품을 수출하며 한국과의 경쟁 심화, 국내 수출 기업들의 채산성 악화 초래 * 중국의 산업보조금 집중으로 2차전지, 철강 등 주요 품목에서 과잉 생산이 발생하고 저가 밀어내기 수출이 진행됨 * 2차전지는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며 단가 방어 가능성이 있지만, 차부품은 산업 구조상 저가 공세의 영향을 일부 받을 가능성 있음 * 한국 수출 단가 안정화를 위해 중국 내수 회복이 필수적이며, 내년 3월 중국 양회에서의 부양 정책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4. 12. 13.(금) (0) | 2025.02.13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4. 12. 12.(목) (2) | 2025.02.13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2. 13.(목) (1) | 2025.02.13 |
(네이버 증권 - 산업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11.(수) (1) | 2025.02.13 |
(네이버 증권 - 경제분석 리포트) 증권사 리서치 요약 - 2024. 12. 11.(수) (1)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