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경제분석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경제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전세계의 경제 최신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제목 | 요약내용 |
한화투자증권 | 10월 한국 산업활동동향: 쉽지 않은 회복 | * 10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보합, 반도체 생산 증가에도 자동차와 기계장비 감소 영향 *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4% 감소, 내구재 소비 부진으로 백화점과 면세점 매출 하락 * 설비투자는 5.8% 감소,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 부진하며 민간 기계 수주도 둔화 * 반도체 수출 모멘텀 둔화 전망, 수출 단가 상승세도 점차 약화 * 소비는 점진적 회복 예상, 생활물가 안정과 금리 인하가 긍정적 요소 |
한화투자증권 | 11월 한국 수출: 마이너스 전환 임박 | * 11월 한국 수출 563.5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 수입은 507.4억 달러로 2.4% 감소 * 일평균 수출 24.0억 달러로 감소, 반도체와 선박 제외 시 일평균 수출 -5.2% 감소 * 15개 주요 품목 중 5개 품목만 증가, 자동차와 화장품 수출은 둔화되는 모습 * 수출단가는 0.3% 하락, 수출물량은 1.7% 증가, 전체적으로 수출 증가 모멘텀 둔화 * 내년 상반기까지 수출 증가율 하락 전망, 반도체 둔화와 제조업 회복 지연 영향 |
키움증권 | 12/02, Kiwoom Morning Letter | * 코스피 2,455.91 마감, 외국인 7,494억원 순매도로 지수 하락 * 미국 증시 상승, 국채금리 하락과 반도체 관련 규제 완화 기대 영향 * WTI 68.00달러, OPEC+ 감산 논의 연기로 공급 불확실성 확대 * 금 2,681.0달러 상승, 미 국채 금리 하락과 안전자산 선호 영향 * 달러/원 1,397.29원, 미 증시 호조에도 원화 약세 지속 |
신한투자증권 | Econ Check-Up | * 미국 11월 소비자신뢰지수 111.7, 고용시장 안정과 주가 반등 영향으로 반등 * 한국 11월 소비자심리지수 100.7, 내수 부진과 물가 상승 압력 약화로 소폭 하락 * 한국 11월 금통위 기준금리 25bp 인하, 경기 둔화 우려 반영 * 미국 11월 ISM 제조업지수 반등 기대, 경기 불확실성 완화 영향 * 한국 11월 수출 증가 예상, 반도체와 IT 수요 회복이 긍정적 요인 |
대신증권 | 달러엔 환율 140엔 대 진입 | * 달러인덱스 106pt, 대선 불확실성 완화와 엔화 강세로 소폭 하락 * 일본 12월 BOJ 금리인상 가능성 확대, 엔화 가치 상승 요인 * 유럽 정치 불안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 증가, 엔화 매수세 유입 * 미일 금리차 축소 전망, 달러엔 환율 하락 가능성 상존 * 12월 BOJ 금리인상 여부가 환율 변동성에 주요 변수로 작용 |
DS투자증권 | 대비되는 한은과 연준 | * 시장은 2025년 연준 금리를 4.0%로 전망, 트럼프 트레이드 영향으로 인하폭 축소 * 미국 채권 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 상승, 부동산 시장 둔화 재개 * 한은 11월 금통위에서 예상과 달리 25bp 인하, 성장 최우선 기조 반영 *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2.1%에서 1.9%로 하향, 수출 부진 지속 우려 * 내년 연말 미국 금리 3.50%, 한국 금리 2.25% 전망, 글로벌 성장 둔화 반영 |
iM증권 | 베센트 효과와 BOJ 기대감 | * 미국 10년 국채 금리 하락, 베센트 재무장관 후보의 긴축적 재정 기조 기대감 영향 * 12월 일본은행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확대, 엔화 강세 지속 * 달러화 지수 105.7, 9주 만에 하락 전환, 유가 하락과 중동 리스크 완화 영향 * 달러-원 환율 1,396.5원, 국민연금 리밸런싱과 엔화 강세로 하락 * 이번 주 미국 고용지표와 ISM 제조업지수 결과가 달러화 흐름에 핵심 변수 |
신한투자증권 | 불확실성 소화 필요 | * 11월 수출 1.4% 증가, 일평균 수출 3.6% 반등, 무역수지 56억 달러 흑자 지속 * 대미국 수출 5.1% 감소, 트럼프 2기 불확실성과 폭설 영향으로 자동차·기계 수출 둔화 * 대중국 수출 9개월 만에 감소 전환, 반도체·석유화학 수요 둔화 영향 * AI·바이오헬스·선박 수출 증가, 반면 자동차·디스플레이·가전 수출 둔화 * 트럼프 2기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미국 수요는 견조하나 비미국 수요 둔화 가능성 |
신한투자증권 | 신한 FX Check-Up | * 달러화 지수 106pt 초반 하락, 트럼프 재무장관 지명 이후 시장금리 조정 영향 * 엔/달러 150엔 초반 하락,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강화로 미-일 금리 차 축소 * 원/달러 1,400원 내외 등락 지속,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으로 변동 제한 * 11월 ISM 제조업지수와 고용지표가 달러화 흐름에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 * 12월 중국 PMI 회복 기대에도 트럼프발 정책 불확실성으로 원화 강세 제한 |
대신증권 | 트럼프 공포에 빨라지는 비미국 경기 부양 |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우려로 글로벌 시장 경계감 확대, 비미국 성장 둔화 가능성 * 한국은행, 11월 금통위에서 3.25%→3.00%로 금리 인하, 성장 우선 기조 반영 * 일본, 39조엔 규모 경제대책 발표, 보조금 지급과 내수 진작 방안 포함 * 유로존, ECB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에도 재정 긴축 기조로 경기 회복 부담 * 중국, 트럼프 정책 대응 방안 발표 예상, 경기 하방 압력 제한 시도 |
신한투자증권 | 트리플 감소에도 최악은 면했다 | * 10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생산, 소비, 투자 모두 감소, 경기 둔화 우려 확대 *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소폭 증가했으나, 건설업 부진이 전체 지표 악화 * 소매판매 0.4% 감소, 내구재 소비 부진이 전체 소비 위축을 초래 * 설비투자 5.8% 감소,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 모두 위축 * 건설업 6개월 연속 부진, 공사 실적 감소로 경기 회복에 부담 |
유진투자증권 | 한국 수출 - 내리막에서 버티기 | * 11월 한국 수출 1.4% 증가, 일평균 수출 3.6% 반등했으나 증가세 둔화 * 반도체 제외 수출 전반적으로 부진, 자동차·디스플레이·기계 수출 감소 * 바이오헬스와 화장품 수출 선전했지만 전체 수출 규모에서 영향 미미 * AI 수요 견조하나,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으로 수출 전망 불안정 * 2024년 한국 성장률 둔화 우려, 수출 경기 위축 가능성 반영 필요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2. 14.(금) (0) | 2025.02.14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4. 12. 2.(월) (0) | 2025.02.13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4. 12. 13.(금) (1) | 2025.02.13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4. 12. 13.(금) (0) | 2025.02.13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4. 12. 12.(목) (2)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