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산업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산업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산업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리포트 제목 | 요약내용 |
대신증권 | ITPCB 업종의 강세 | * 애플의 레거시 모델 출하량 증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1Q25 실적 상향 가능성 존재 * MLB 수요 강세가 지속되며,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라 전기전자 업종 실적 개선 기대 * 대덕전자는 2Q25에 AI 가속기향 MLB 매출이 반영될 예정이며, 삼성전기는 FC BGA 공급 확대 추진 * 이수페타시스는 2025년 데이터센터향 MLB 매출 증가 전망이며, 수주 금액이 7,349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 증가 *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FC BGA 매출 확대 및 신규 고객사 확보를 목표로 다양한 전략을 추진 중 |
IBK투자증권 | 건설[IBKS Weekly_TBM] 서울 부동산 투자수요는 살아날까? | * 서울시, 강남·송파 토지거래허가 해제, 재건축 14곳은 유지 * 건설업 지수 5.48% 상승, 코스피 대비 2.74%p 초과 상승 * 전세가율 상승 속 갭투자 수요 증가 예상, 매매가 상승 전망 * 서초 메이플자이 공사비 소송, 3.3㎡당 공사비 797만 원 증가 * 이라크 11개 신도시 발주 계획, 한화·대우건설 추가 참여 가능성 |
IBK투자증권 | 건설건설 트럼프 행정부 LNG 프로젝트 수출허가, 플랜트 기자재 매수 시점 | * 트럼프 행정부, Cameron Parish LNG 프로젝트 비FTA 국가 대상 수출 승인 * Elba Island LNG 프로젝트, 기존 설비 증설 형태로 착공 진행 * 미국 LNG 터미널 수출 승인, 국내 플랜트 기자재 산업에 중요한 분기점 * FID 결정 이후 6개월~1년 내 LNG 터미널 기자재 발주 시작 예상 * 플랜트 기자재 투자의견 Overweight 유지, 매수 시점 고려 필요 |
신한투자증권 | 건설신한 건설 Weekly (2월 3주차) | * 2025년 2월 3주차 건설업종 주가는 5.5% 상승하며 KOSPI 대비 2.8%p 아웃퍼폼 기록 * 현대건설과 DL이앤씨의 25년 영업이익 서프라이즈 가이던스로 투자자 관심 증가 * 태영건설, PF 우발채무 축소 및 4분기 흑자전환 발표로 주가 급등 *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는 제한적이며, 현대건설과 DL이앤씨 외 건설사 주가 변동성 높을 전망 * 2월 19일 발표 예정인 건설 안정화 대책의 실효성 여부가 향후 건설업종 전망의 관건 |
IBK투자증권 | 게임[IBKS Daily] 인터넷/게임 | * 네이버, 글로벌 100대 로봇 기업 선정,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중 유일 * 카카오, AI 기반 서비스 'AI 메이트' 출시 예고, 카카오톡 수익화 강화 목표 * 게임업종, 코스피·코스닥 대비 변동성 확대, 크래프톤·넷마블 등 약세 * 미국 IT기업, 나스닥 상승 견인, 애플·테슬라·메타플랫폼 주가 강세 * 중국·일본 게임사, 텐센트·닌텐도 상승, 넷이즈·넥슨 부진 지속 |
유진투자증권 | 기타미국의 중국 배터리 관세 상향 ESS 시장까지 K배터리에게 유리해질 것 | * 미국은 중국산 배터리에 38.4% 관세를 부과하며 가격 경쟁력을 낮추는 정책을 강화 * 2026년부터 ESS용 배터리에도 동일한 관세가 적용되며 K배터리의 시장 점유율 상승 기대 * 미국 ESS 시장은 2024년 37.9GWh에서 2030년 69.7GWh로 성장할 전망 * K배터리 업체들은 내년부터 미국에서 LFP 배터리 생산을 시작하며 경쟁력 확보 * 미국의 태양광 설치 증가로 연간 ESS 수요 100GWh 이상 확장 가능성 높아짐 |
하나증권 | 기타소재 주문 일부 회복 | * 에코프로비엠과 엘앤에프의 출하량 증가에도 전기차 수요 회복이 미미하여 매수 실익이 크지 않음 * 유럽 전기차 시장은 일부 국가에서 성장세를 보였으나 프랑스와 미국 시장의 부진으로 회복세가 제한적 * 대형주 주가는 하락 압력이 크지 않으며, 특수소재 및 국산화 소재 기업들의 성장 가치가 부각될 가능성이 있음 |
유진투자증권 | 기타휴머노이드로 집결하는 M7 | * M7 기업들이 휴머노이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구글, 메타, 애플, 테슬라 등 주요 기업들이 투자 및 연구 개발을 추진 중 * 삼성전자는 스타트업들과 협력하여 휴머노이드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에이딘과 테솔로와 같은 기업들이 유망한 스타트업으로 주목받고 있음 * 구글은 Apptronik에 투자하고, 메타와 애플은 휴머노이드 개발을 강화하고 있는데, HW 기술 기업과 협력 없이도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두산로보틱스는 새로운 CEO인 김민표 부사장이 취임하였으며, 카카오모빌리티와 브이디컴퍼니는 로봇 사업 협력을 강화 중 * 휴머노이드 개발에 있어 AI와 하드웨어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이 AI 기반 로봇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유안타증권 | 바이오금쪽상담소3: Beauty vs Bio | * 헬스케어에서 웰니스로 전환, 만성질환 및 외모 관리 시장 성장 * GLP-1 기반 비만 치료제, 체중 감량 효과로 빠르게 시장 확대 * 글로벌 기업, K-뷰티 브랜드 인수 통해 더마코스메틱 시장 확장 * 웰니스 펀드, 비만 및 건강 관련 테마 중심으로 성장세 지속 * CNS 치료제 개발 관심 증가, 퇴행성 뇌질환 신약 기대감 상승 |
유진투자증권 | 반도체난야와 윈본드의 주가 급등 | * DXI 지수는 주간 1.0% 상승하며 메모리 시장의 회복 조짐이 나타남 * 난야와 윈본드 주가는 각각 12.2%, 19.5% 상승하며 대량 거래를 동반 *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IT 수요가 증가하며 DRAM 기업들의 반등이 관측됨 *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가동률 상승을 발표하며 4nm 공정 수주 증가 기대 * DB하이텍과 삼성전기는 수요 회복에 힘입어 가동률이 각각 85%, 90%대로 상승 |
대신증권 | 보험삼성생명 희망 회로 풀가동 | * 삼성화재의 자사주 10% 소각으로 삼성생명의 지분율 상승, 금융위에 자회사 편입 승인 신청 *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배당재원 증가 기대감으로 두 종목 주가 각각 7.33%, 9.34% 상승 * 삼성전자의 자사주 추가 매입·소각 시 삼성생명은 최대 5,700억원의 처분이익 발생 예상 * 삼성생명이 삼성화재 지분 20% 이상 확보 시 연간 2,670억원의 지분법 이익 추가 가능 * 보험업황 악화 속에서도 지배구조 변화로 배당 여력 확대 전망, 삼성생명 최선호주로 제시 |
하나증권 | 석유화학유기실리콘, NCC, 그리고 인도 LNG | * 중국 유기실리콘(DMC) 가격 WoW +5% 상승, 유기실리콘-메탈실리콘 Spread는 2.5년 래 최대치 기록 * 노르웨이 Elkem의 실적 개선과 구조조정, KCC(모멘티브)의 글로벌 경쟁력 부각 * 트럼프의 이란 최대 압박 캠페인 복원과 러-우 종전 시도로 중국 정유/석유화학 업체 원가 구조 악화 가능성 * 인도의 미국 LNG 도입 확대, 2030년까지 LNG 수요 CAGR 11% 증가 전망 * 미국 태양광 모듈 수입량 급감, 2025년 한화큐셀 수직계열화 완성으로 실적 개선 기대 |
하나증권 | 유틸리티12월 전력통계월보: 4분기 일부 주요 숫자 미리보기 | * 12월 전력판매량은 45.4TWh로 전년 대비 1.7% 감소했으며, 전력판매금액은 8.0조원으로 3.9% 증가함 * 산업용 전력판매단가는 9.9% 상승하여 175.66원/kWh을 기록했으며, 2025년 10월까지 판매금액 및 단가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 * 12월 발전량은 52.2TWh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으며, 유연탄 발전량은 15.8% 감소하고 원자력 발전량은 2.5% 증가함 * IPP+PPA 구입전력량은 18.6TWh로 9.7% 증가했고, 구입단가는 154.28원/kWh로 0.6% 상승하여 외부 전력구입비용 부담이 증가한 상황 * 4분기 누적 전력판매량은 0.4% 증가했으나 기저 발전량은 4.9% 감소했으며, 발전Mix가 악화되어 SMP 대비 전력구입단가 상승폭이 확대됨 |
하나증권 | 은행은행간 PBR Gap 축소 현상 단기간 이어질 듯 | * 정부가 2월 19일 지방 미분양 해소 등 건설경기 보완책을 발표하며 금융·세제 지원과 스트레스 DSR 완화 가능성 커짐 * 외국인이 KB금융 2,870억원 순매도해 심화, 기관은 자사주 매입 포함 1,980억원 순매수하며 상반된 흐름 보임 * 우리금융 주가는 4분기 CET1 12.0%와 자사주 매입·소각 발표 후 10.8% 급등, 생명보험 인수 기대감도 부각됨 * 은행간 PBR 격차 축소 발생, KB금융 주주환원 부진 이후 우리금융과 DGB금융 상승이 저평가 종목들에 파급 중임 * 하나금융은 낮은 PBR(0.36배)과 CET1 안정세로 투자심리 개선, DGB금융은 이익 회복 기대 커 관심 높아짐 |
유진투자증권 | 음식료2월 ENSO 진단 보고서 Comment | * ENSO는 태평양 적도 해수면 온도 변화로 엘니뇨, 라니냐, 중립 3단계로 구분되며, 3월~5월 중 ENSO 중립으로 전환될 가능성 존재 * 미국 콘벨트와 대두 주요 산지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전망이며, 2월 WASDE 자료 기준 주요 곡물 수급 전망에 큰 변화 없음 *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질소 비료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작물 생육 둔화 및 곡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위험 존재 * 음식료 산업은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지만 인구 증가에 따른 성장 의존도가 높아 해외 시장 진출이 필수적 요소로 작용 * 라니냐가 예상보다 약하게 지속되면서 작황 우려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곡물 가격 안정세가 지속될 전망 |
키움증권 | 음식료키움 음식료 Weekly (2/17) | * CJ제일제당의 그린바이오 사업부 매각 본입찰에 MBK파트너스와 글로벌 사모펀드들이 불참하며, 주기가 타는 사업에 대한 우려가 작용함 * 삼양식품은 일본 시장에서 국물라면 위주의 '맵' 브랜드를 출시하며, 연 7조원 규모의 일본 라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함 * 최근 1월 수입물가지수는 2.3% 상승하며, 국제 유가와 환율 상승이 소비재 가격에 즉각 반영될 가능성 있음 * 농심의 신라면 툼바가 호주와 일본의 주요 유통업체에 입점하면서 해외 시장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롯데웰푸드는 인도 푸네시에 신공장을 준공하며,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를 설정 |
대신증권 | 자동차자동차 업종 트럼프 관세 우려 확대, 주가 대응 전략 | *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부터 자동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이에 따라 자동차 업종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저점 매수 기회를 고려할 필요성이 언급 * 자동차 업종에 대한 관세 부과는 현지 업체를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업종 전반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미국 자동차 수입의 주요 국가인 한국, 멕시코 등에서 타격이 예상 * 주가 반등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면서, 리스크 대응 전략이 잘 구축된 기업들이 향후 주가 상승 모멘텀을 가질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차, 기아, 에스엘 등 특정 기업들이 추천 종목으로 제시 |
하나증권 | 전기전자채널 재고 소진중. 주문 증가 시점에 주목할 때 | *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기관과 개인 순매수로 상승했으며, 전기전자 대형주는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의 주가 상승으로 긍정적인 흐름 * 중국 이구환신 효과가 전기전자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스마트폰 채널 재고 소진으로 부품 주문 회복이 앞당겨질 가능성 확대 * LG이노텍의 주가는 Apple의 로봇 사업 기대감으로 상승했으며, 해성디에스는 DDR5 패키지기판 승인 기대감에 큰 폭으로 상승 |
iM증권 | 조선한국에서 미국 군함을 건조할 수 있을까? | * 미국 해군과 해안경비대의 함정 건조를 외국 조선소에서 허용하는 법안이 발의됨. 이 법안에 따라 한국 조선소에서도 미 해군용 함정 건조가 가능해질 전망 * 한국 조선소는 미 해군용 함정 건조 시 도크와 안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군함 건조에 필요한 기술적 역량도 충분한 상태 * 미 해군용 함정의 건조에는 전투체계와 체계통합을 담당하는 방산회사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이지스 시스템 등 핵심 장비의 통합 작업이 중요 * 한국 조선소는 미 해군의 수상함을 건조하는 데 필요한 설비와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인력 파견과 협력을 통해 건조 능력을 확장할 수 있음 * 미 해군의 함정 도입계획에 따른 발주 물량 확보가 한국 조선소의 상선 물량 감소를 보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 있음 |
SK증권 | 조선한수위: 미 해군 및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 | * 미 해군과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이 발의되어, 한국 조선소에서도 미 해군 함정 건조가 가능해질 전망 * 한국 조선소는 도크와 안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미 해군 함정의 건조 능력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 * 미 해군의 전투함은 국가 안보와 기술 유출 문제로 초기부터 해외 조선소 발주 가능성은 낮지만, 군수지원함 수주가 기대됨 * 미 해안경비대는 군사적 기밀성이 낮아 해외 조선소에서의 함정 건조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미 해군과 해안경비대의 함정 건조를 위한 해외 조선소의 조건은 NATO 회원국 또는 방위조약 체결 국가로 한정됨 |
iM증권 | 철강금속Steel Weekly (2월 3주차) | * 미국 철강 내수 가격 상승, 수입산 철강에 대한 25% 관세 부과 영향 * 중국 철강업체 경기 부양 기대에도 가격 보합, 가동률 78% 수준 유지 * 한국 철강재 대미 수출 불확실성 확대, 캐나다·멕시코 관세 변화에 따라 영향 가능 * 동남아 철강 가격 약세 지속, 유럽 지역은 재고 감소로 강보합세 * 글로벌 비철금속 시장, 관세 부과 및 공급 차질로 전기동 가격 상승, 니켈 가격 하락 |
SK증권 | 철강금속철강/비철 Weekly Scene Steeler: 유정관 가격 추가 상승. 국내 후판 업황 개선도 기대 | * 지난주 철강 가격 하락은 중국 철강 수요 회복 기대감과 트럼프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소식으로 인한 투자 심리 위축 때문임 * 북미 유정관 가격은 재고 조정 마무리와 업황 개선에 힘입어 상승세를 지속하며, 최근 철강 관세 부과가 유정관 가격 상승에 기여함 * 구리 가격은 관세 부과 가능성, 달러 약세 등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고, 비축 수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 중국산 후판 반덤핑 예비 판정과 중국/일본산 열연 반덤핑 조사 개시 여부가 국내 후판 업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철강 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의 새로운 지침 발표는 구식 생산 능력 폐쇄와 저탄소 공정 가속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됨 |
하나증권 | 철강금속트럼프 철강 관세 부과 영향 점검 | * 트럼프가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며, 면제된 국가들에 새로이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미국의 철강 수입 규제가 확장되고, 한국은 기존의 25% 관세 외에 추가적으로 25%가 부과될 전망. * 한국 철강업체들은 미국향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쿼터제 폐지로 인해 물량 제한이 없어진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2025년에는 미국 내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도 있어 수출 감소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트럼프 1기 때 철강 수입 규제의 영향으로 미국 철강 수입은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수입량이 회복세를 보였다. 주요 철강 수출국들 중 한국, 영국, 일본은 큰 폭으로 수출이 감소한 반면, 멕시코와 캐나다는 수출이 증가 |
하나증권 | 휴대폰24년 12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 * 12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3,241만대로 전년 대비 21%, 전월 대비 15% 증가했으며, 2022년 이후 최대 출하량 기록 * 5G 스마트폰 출하량은 3,043만대로 전년 대비 26%, 전월 대비 11% 증가하여 스마트폰 내 5G 비중이 94%까지 상승 * iPhone 포함 Non-Local 핸드셋 출하량은 374만대로 전년 대비 1%, 전월 대비 23% 증가하며 점유율 12% 기록 * 이구환신 효과로 로컬 업체 출하량이 2022년 이후 최고치 기록, 6천 위안 이상 제품에도 보조금 지급 확대 전망 * 1월 출하량 증가가 예상되나 재고 부담 우려 존재, 보조금 확대와 판매량 증가 여부가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4. 12. 3.(화) (1) | 2025.02.17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4. 12. 3.(화) (0) | 2025.02.17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2. 17.(월) (0) | 2025.02.17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2. 14.(금) (0) | 2025.02.14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2. 14.(금)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