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투자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주식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리포트 제목 | 요약내용 |
신한투자증권 | (신한 팝업스토어 #2 사이버 보안) 보안, AI SW 시대의 청바지와 곡괭이 | * 기술 진보와 사이버 공격의 진화에 따라, AI 사이클이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증가시키고 있음 * 사이버보안의 주요 위협으로는 AI 활용 공격, 글로벌 사이버 전쟁, IoT 확산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보안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 2025년 사이버 보안 투자 전략은 수익성 향상에 집중하며, 기업들은 통합 서비스로 빠르게 대응하고 업셀링 및 크로스셀링 기회를 모색하고 있음 |
키움증권 | 02/24 Commodity Weekly | * S&P GSCI 에너지 지수는 러시아 송유관 타격으로 원유 수출 차질 우려에 상승 후, 미국의 원유 수출 확대 요구로 주 후반 하락함 * 금과 은은 안전자산 수요로 상승하며, 금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우크라이나 리스크에 영향을 받음 * 천연가스와 산업금속은 가격 상승을 보였고, 특히 알루미늄은 러시아 제재로 공급 불안이 높아져 강세를 기록함 |
키움증권 | 02/24 달러, 안전자산 수요에 상승 | * 달러는 미국 경제지표 부진과 미국 증시 하락 영향을 받으며 안전자산 수요로 소폭 상승 * 국제유가는 미국의 원유 수출 확대 요구와 중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발견 등으로 공급 증가 우려와 수요 불안에 하락 * 금은 미국의 2월 소비자심리지수 부진에도 채권금리 하락 속에서 낙폭이 제한되며 소폭 하락 |
키움증권 | 02/24, Kiwoom Weekly_경기와 AI 내러티브 전환 가능성 | *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 급락 여파와 주요 경제지표 영향을 받아 변동성 장세 전망, 주간 KOSPI 예상 레인지 2,580~2,690pt * 연초 소비 쪽 부정적인 신호는 일시적 영향으로 판단되며, 관세 불확실성이 경제와 인플레이션 전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임 * 3~4월 미국과 다른 국가들의 협상에서 관세가 물가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 증시는 단기적으로 개별 재료에 민감히 반응할 가능성 있음 |
한화투자증권 | CLO ETF 통해 기업 대출에 투자하기 | * CLO(대출채권담보부증권)는 기업 대출채권을 담보로 발행된 자산유동화증권으로, 후순위일수록 위험과 수익률이 높음, 기업 대출에 투자함으로써 분산 효과가 있음 * CLO ETF는 주로 변동 금리 기반으로 투자되며, 금리 하락 시 회사채보다 수익률 상승이 둔화되므로 금리 인하 사이클에서 회사채가 더 선호됨 * CLO ETF는 선순위 및 중순위 트랜치로 나뉘며, 대표적인 CLO ETF인 Janus Henderson AAA CLO는 안정적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지만 금리 하락 시 수익률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
DS투자증권 | DS와 함께하는 Weekly TalkTalk Vol. 206 | * HD현대와 한화, 미국 조선업 협력 본격화, 미국 내 투자 기회 검토 예정 * 도요타, GM 협력 확대 및 전기차 생산 목표 조정, 중국 시장 공략 강화 * LGES, 도요타 배터리 주문 이전으로 불확실성 해소, 미시간 공장 공백은 ESS 생산으로 대체 |
신한투자증권 | Shinhan China Weekly(2월 3주차) | * 중국 AI 기술주 모멘텀 강화, 항셍테크 및 BAT 3사 거래비중 급증,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있음 * 시진핑 주석 민간기업 좌담회 개최, 빅테크 규제 철폐 신호로 해석, 알리바바 마윈 창업자 포함 * 샤오미, 전기차와 스마트폰 판매 호조, AI 통합으로 사용자 경험 향상, 주가 급등 |
신한투자증권 | Weekly Guide Book(2025/02/21) | * 미국 경기 모멘텀 약화에도 불구하고 비미국 증시의 가격 매력과 이익 개선 기대가 부각됨 * 미국 실업청구건수 증가와 월마트 실적 쇼크가 소비자 불안 요소로 작용, 반면 비미국 증시는 이익 개선 전망 속 강세 전환 * 지정학적 리스크와 연준의 금리 정책에 따라 시장 혼선이 지속될 가능성, 중요한 경제 지표 발표와 기업 실적이 향후 변동성의 주요 요인 |
IBK투자증권 | [IBKS Daily] Start with IBKS (2025.2.24) 美 주요 경제 지표 부진 | * 한국증시는 수출 호조 소식에 강보합으로 마감했으며, 철강주 급등과 외국인의 순매도로 상승폭이 제한됨 * KOSDAQ은 2차전지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하였으며, 전 거래일 대비 0.83% 상승함 * 미국증시는 소비 위축 우려로 하락,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급감과 서비스업 PMI 하회가 주요 원인임 |
대신증권 | [주간 퀀틴전시 플랜]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잠시 숨고르기가 필요한 시점 | * KOSPI가 2,600선 돌파 후 숨고르기가 필요한 시점으로, 단기 과열 후 2,520~2,570선에서 지지력 확보가 예상됨. * 미국과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 확대가 예고되며, KOSPI는 3월까지 단기 조정 후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음. * KOSPI 추가 상승 동력은 연기금 순매수, 외국인 순매수 전환, 글로벌 경기 회복, 그리고 국내 정치 리스크 해소에 기인할 전망. |
하나증권 | 국내외 주간 이익 동향 체크 | * 중국의 이익 모멘텀 급증, 샤오미 및 알리바바 실적 상향 기여, AI 투자 증가로 기대감 상승 * 미국 기업이익은 에너지와 소비재 업종에서 개선, 반도체 업종은 소강 상태, 해운 및 가스유틸리티 실적 상향 * 국내 코스피 실적 추정치 급감, 1Q25F OP는 61.8조원으로 6.0% 하향 조정, 비철금속과 증권 업종 실적 상향 |
KB증권 | 새로운 불확실성 요인들에 변동성 확대 가능성 | * KOSPI는 외국인 순매수 및 연기금 순매수세 유지로 상승세를 지속했지만, 금리인하 신중론과 차익실현 매물로 일부 조정됨 * 트럼프의 자동차 및 반도체 관세 부과 방침은 주가에 일정 부분 선반영되었으나,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미국 시장 점유율 하락 우려 * 중국 정부의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부각되며 엔터, 미디어, 화장품 관련주가 급등했음 |
대신증권 | 일본 마켓 레이더 Weekly | * 일본 증시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 방침과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박스권 하단으로 방향을 틀었음 * 일본 대미 자동차 수출 비중 3분의 1 이상으로, 관세 부과가 일본 자동차 업계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일본의 금리 인상 기조가 강화될 전망이며, BOJ의 매파 정책 위원 합류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짐 |
DS투자증권 | 최근 미 증시 급락에 대해 | * 최근 미 증시 급락은 AI 기업들의 성장 정체와 경기 불안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S&P500,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는 각각 1.7%, 1.7%, 2.2% 하락함 * 미 증시 내 트렌드 변화가 나타났으며, AI 대형주 성장 정체 우려로 자금이 레거시 반도체로 이동하며 일부 종목의 낙폭은 제한적이었음 * 중국의 AI 혁신으로 글로벌 자금이 항셍테크 지수로 몰리고 있으며, 알리바바가 새로운 AI 모델 발표 후 시장 기대감을 키움 |
하나증권 | 중국 1등주 포트폴리오 | * 알리바바는 4Q24 매출액 증가 및 AI 관련 클라우드 매출 성장으로 실적 개선, 향후 AI 인프라 투자 확대 예고 * 바이두는 클라우드 사업 성장에도 불구하고 광고 매출 감소, AI 모델 경쟁에서 뒤처져 주가 부진 * 샤오미는 AI 기술을 모든 제품에 도입할 계획, 2024년 매출은 고성장세를 유지하며 2025년에도 성장 전망 |
하나증권 | 화수분전략 | * 중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미국과의 금리 스프레드가 축소되었고, 이는 글로벌 증시 수익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항셍 Tech지수는 2개월 연속 예상 EPS 증가율 반등을 기록, 반면 미국 나스닥지수와 S&P500 Tech지수는 하락세를 지속 * 외국인 보유 비율이 축소된 기업들 중 PBR이 최저점에 있거나 ROE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들에 대한 관심 필요 |
유진투자증권 | 흔들리는 M7의 대안 찾기, 2025년 주도 업종 | * M7의 경쟁력은 AI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 기업들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 있음 *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로 전력 생산 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 * AI 생태계 기업들의 주가는 Deepseek 논란에도 상승세 유지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2. 25.(화) (1) | 2025.02.25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2. 25.(화) (0) | 2025.02.25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2. 24.(월) (1) | 2025.02.24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2. 24.(월) (0) | 2025.02.24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2. 21.(금)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