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산업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산업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산업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산업 | 리포트 제목 | 요약내용 |
SK증권 | IT | IT소부장, AI-Driven | * 레거시 반도체 전공정 업체들의 주가가 3월 들어 하락했으나, 중국 DRAM/NAND 재고 소진으로 업황 개선 전망 * AI 후공정 업체들의 조정이 지속되었으나, Valuation 매력 상승과 함께 상승 반전 시 높은 베타 기대 * Telco 업체들도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시작하며, GPU 확보 및 AI 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솔루션 개발 추진 |
대신증권 | IT | 브로드컴의 수혜를 예상! | *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개발과 브로드컴의 호실적이 반도체 패키지 시장 성장 기회로 작용하며, 관련 업체들의 주가 반등 기대감 형성됨 * 글로벌 관세 정책 변화와 경기 둔화 우려에도 IT 기기의 재고 수준이 낮고, 온디바이스 및 AI 인프라 투자가 지속되면서 2025년 IT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 유지됨 * 브로드컴의 AI ASIC 매출 증가가 반도체 시장 성장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며, 국내 반도체 패키지 및 R/F 부품 업체들의 매출 증가 가능성 높아짐 |
신한투자증권 | 건설 | 신한 건설 Weekly (3월 2주차) | * 건설업종 주가는 5.5% 상승하며 KOSPI 대비 4.3%p 아웃퍼폼, 서울 주택거래량 반등과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 * 홈플러스 법정관리 신청으로 롯데건설과 DL이앤씨 등 관련 건설사들의 리스크 증가 가능성이 있으며, 시행사 및 보증금 확보 여부가 변수 *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이후 부동산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될 전망이며,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가 건설업종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
iM증권 | 건설 | 합산 시총 10조원의 벽, 이번에는 넘을까? | * 현대건설, DL이앤씨, HDC 현대산업개발의 주가가 상승하며 건설 섹터의 합산 시가총액이 10조원을 돌파 *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와 맞물려 건설사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며, DL이앤씨와 HDC 현대산업개발이 대표적인 저평가 종목으로 꼽힘 *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증가하는 계절적 특성과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의 강남 3구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 높음 |
IBK투자증권 | 게임 | [IBKS Daily] 인터넷/게임 | * 네이버는 AI 기반 쇼핑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출시하며 멤버십 경쟁력을 강화하고 쇼핑 사업 확장을 추진 * 엔씨소프트, 넷마블, 크래프톤 등 주요 게임사의 주가는 최근 한 달간 하락세를 보였으며,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중 * IBM은 2029년까지 오류를 자동으로 수정하는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계획이며, 연세대는 127큐비트 양자컴퓨터를 도입하여 연구 활성화를 추진 |
하나증권 | 기타 | 실적과 Valuation factor가 엇갈리는 시기 | * 유럽의 전기차 정책 완화로 CO2 규제는 유지되지만 보조금 확대 계획은 미흡하며, 미국 IRA 및 연비 규제 조정안이 변수로 작용함 * 2월 유럽 전기차 판매 증가세 지속, 독일 +31%, 영국 +42%로 연간 20%대 중후반 성장 가능하나, 하반기 기저 효과로 성장률 둔화 예상 *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등 주요 배터리 기업들의 주가가 최근 하락하며 적정가치 구간 진입, 대형주는 조정 시 매수 전략 유지 |
유진투자증권 | 기타 | 우수 인력 보유 현황 | * 공정거래위원회가 삼성전자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업 결합을 최종 승인하면서 국내 로봇 산업의 구조 변화 기대감이 커지는 중임 * 글로벌 로봇 공학 분야에서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우수한 인력풀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카이스트와 서울대 인력을 확보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음 * 중국 전인대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공식적으로 언급되며, 중국의 로봇 산업 확장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한화투자증권 | 기타 | 이번 달 정기주총에서 또 이사회 장악을 위한 표 대결 불가피 / 절차의 적법성에 치중된 분쟁 아쉬워 | * 법원은 고려아연 임시주총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을 일부 인용하여 이사 7인 선임과 이사 수 상한 설정 등의 안건을 정지했으며, 이로 인해 이사회 장악을 위한 표 대결이 다시 진행될 예정임 * 영풍은 법원 판결 당일 고려아연 지분 25.42%를 현물출자해 신설 유한회사 YPC Limited를 설립하며 상호주 의결권 제한 규제 저촉 가능성을 차단하고 의결권을 안정적으로 행사할 기반을 마련함 * 경영권 분쟁이 본질적인 이사회 구성보다는 절차적 적법성에 초점을 맞춘 소모적인 논쟁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며, 표 대결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유진투자증권 | 반도체 | Worthwhile Cost for MAGA? | * 마벨은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AI 매출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주가가 19% 이상 하락하며 주요 테크 기업의 주가 하락을 유발 * TSMC는 미국 애리조나에 1,000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생산시설 및 연구센터 건설을 발표하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본격적으로 참여 * DDR5 현물 가격은 연초 대비 6.4% 상승했으며, 삼성전자의 DDR5 계약 가격이 상승하면서 향후 지속적인 가격 상승이 예상됨 |
SK증권 | 반도체 | 강해지는 국면 | * 2026년 HBM 계약이 2Q25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AI CapEx 확대에 따라 HBM 수요 증가가 지속될 전망 * DRAM 고정가격이 안정화되는 국면에 진입하며, AI 및 서버 D5 수요 확대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중 * SK하이닉스는 HBM 생산능력을 확대하며 엔비디아 및 ASIC 고객 다변화를 추진, 반도체 업종 내 최선호주로 평가됨 |
유진투자증권 | 반도체 | 커지는 변동성 |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하락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국내 소부장 기업 주가 하락세 지속, 차량용 반도체 및 전공정 소재 관련 기업의 낙폭이 두드러짐 * 미국의 반도체 관련 관세 정책 변화가 주목받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브로드컴의 광반도체 기술 개발 소식으로 퀄리타스반도체 주가 급등 * CXMT의 메모리 시장 점유율이 2020년 0%에서 2024년 5%로 증가하며 국내 메모리 업체들의 경쟁 압박 심화, 삼성전자는 시스템LSI 사업부 경영진단 착수 |
iM증권 | 석유화학 | 기름뿜뿜 Weekly: 최근 화학업체 주가 상승 관련 코멘트 | * 정유사의 정제마진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이 가까워지면서 러시아산 원유의 시장 출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미국의 LNG 수출량 증가로 Henry Hub 가격이 4달러 초반대에 안착했으며, 유럽과 아시아의 LNG 가격은 하락하면서 지역 간 가격 격차가 축소되는 중 * 유가 하락과 함께 납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으나, 화학 제품 가격은 일부 버티거나 상승하며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금호석유 등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음 |
하나증권 | 석유화학 | 롯데케미칼 다음은 S-Oil | * 롯데케미칼 주가 급등 후 S-Oil이 다음 관심 대상으로 부각됨. WTI 가격 하락, 중국의 원가 경쟁력 약화 등이 정제마진 반등을 이끌어 S-Oil의 수혜 가능성 높아짐 * 4월부터 OPEC+ 감산 완화로 아시아 원유 가격 안정 예상. 한국 석유화학업체들의 원가 경쟁력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어 시장 내 경쟁 구도가 변화할 전망 * S-Oil의 샤힌 프로젝트는 기존 NCC 대비 원가 경쟁력이 높아 주목받을 가능성 있음. 롯데케미칼이 반등한 상황에서 S-Oil이 새로운 투자 기회로 평가됨 |
신한투자증권 | 소프트웨어 | AI S/W; 10년 업사이클에 탑승하는 법 | * AI 모델 개발 비용이 6개월마다 8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며, 저비용 AI 모델 개발이 증가하는 추세 *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2분기 이후 눌림목에서 전략적 매수 기회 고려 필요 * 데이터, 사이버보안, 워크플로우 분야의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음 |
하나증권 | 은행 | 투자심리 회복에는 다소간의 시간 필요할 듯 | *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며 은행권 익스포져가 1,100억원 규모로 파악되었으나, 부동산 담보가 충분해 리스크는 제한적이라는 평가 * 신한은행에서 3년간 내부통제를 피해 17억원을 횡령한 사건이 발생하며 금융권 내부통제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중 * 금융당국 압박과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주요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최대 0.2%p 인하하며, 가계부채 관리와 대출 수요 증가 여부가 주목되는 상황 |
하나증권 | 음식료 | 2월 수출 Re | * 2월 라면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30.3% 증가한 1억2,115만 달러를 기록했고,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각각 6.5%, 96.8% 증가 * 2월 김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53.1% 증가한 9,896만 달러를 기록하며 강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김치 수출액은 10.4% 감소 * 농심, CJ제일제당 등 국내 식품업체들이 해외 성장성 기대감 속 주가 상승을 기록하며,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는 흐름 |
키움증권 | 음식료 | 키움 음식료 Weekly (3/10) | * CJ제일제당이 바이오 사업부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며, 매각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고 식품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 * 팜유 선물 가격 상승으로 라면 원가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식품업체들이 납품 중단과 가격 인상 조치를 진행 중 * 2월 소비자물가가 전월 대비 2% 상승하며 물가 부담 지속, 베이커리 시장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빵 소비량이 18.1% 증가 |
신한투자증권 | 인터넷포탈 | 3월 온라인 광고/커머스 지표 확인 | * 3월 광고경기전망지수는 100.6으로 2월 대비 소폭 하락했고, 온라인채널 전망지수는 102.2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 * 1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1.9조원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으나, 가전 소비 부진과 티메프 사태 영향으로 일부 품목 감소 * 네이버 플러스스토어 론칭을 앞두고 있으며, 평균 수수료율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거래액과 트래픽 이동 여부에 주목 |
유진투자증권 | 자동차 | 유럽 2월 전기차 판매도 순항 EU 액션플랜 K배터리에 긍정적 | * 유럽 전기차 시장이 1월 20% 성장에 이어 2월에도 19% 이상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순수 전기차 판매는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 EU 액션플랜에 따라 배터리 셀 및 팩 업체에 대한 세제 혜택, 전기차 사회적 리스 프로그램 도입, 충전 인프라 5.7억 유로 투자 등의 지원책이 포함됨 * 중국산 전기차의 우회 수출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면서 EU 내 생산 거점을 보유한 K배터리 업체들이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가능성이 커지는 중임 |
하나증권 | 전기전자 | 불확실할 때에는 보이는 것에 집중 | * 코스피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도에도 개인 순매수로 1.2% 상승했으며, LG이노텍이 25년 1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임 * 글로벌 테크 기업 주가는 혼조세를 보였으며, 애플은 1.2% 하락한 반면, 샤오미는 전기차 모멘텀과 AI 기대감으로 6주 연속 상승 * 삼성전기의 조정이 지속되는 가운데, AI 서버 및 전장 수요와 채널 재고 조기 정상화 가능성으로 25년 2분기 실적 상향 기대 |
SK증권 | 조선 | 한수위: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동맹국도 동참해라 | * 미국 행정부가 중국 조선업을 제재하며, 동맹국에도 협력을 요구하는 행정명령 초안을 준비 중임 * 미 해군이 한국 조선업체에 해양조사선 및 해양감시선 5~6척의 MRO를 맡기려 하며, 한화오션이 수주 가능성이 높음 * CMA-CGM이 미국 조선·해운업에 200억 달러를 투자하며, 미국 국적 선박을 30척까지 확대할 계획임 |
iM증권 | 조선 | 호재가 이어지지만, 무시할 수 없는 업황 지표들 | * 2025년 들어 한국 조선업 관련 호재가 이어지며 조선3사 주가는 연초 대비 평균 50.4% 상승함 * 2월 누적 전세계 선박 발주량이 전년동기 대비 65% 감소했으며, 선가지수는 2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3월 현재 중국의 전세계 수주잔고 점유율은 59.4%로 증가한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23.8%로 감소함 |
신한투자증권 | 지주회사 | 상법 개정안에 대한 생각 | *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며, 주주 이익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됨 * 개정안 통과 시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경영진의 책임이 강화되며, 지주회사와 우선주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이 있음 * 규제 산업에서 소액주주 보호 강화와 기업 공적 기능 간 충돌 가능성이 있으며, 금융·유틸리티·통신업 등 규제 리스크 완화 기대 |
iM증권 | 철강금속 | Steel Weekly (3월 1주차) | * 독일 인프라 투자 기금 조성으로 유로화 강세, 이에 따른 달러 약세가 철강 및 소재 업종 주가 반등을 촉진 * 미국 철강 가격 급등은 관세 부과 효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며, 글로벌 대비 높은 가격으로 수요 위축 가능성 존재 * 중국 철강업계는 성수기 진입에도 불구하고 가격 상승이 미미하며, 감산 기대감은 시기상조로 평가 |
하나증권 | 철강금속 | 높아지고 있는 중국의 철강 공급측 개혁 가능성 | * 중국 철강 유통가격은 수요 부진과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약세 지속, 미국은 철강 수입 관세 부과 영향으로 5주 연속 상승세 유지 * 중국 철강 공급측 개혁 가능성 커지며 5,000만톤 감산 예상, 이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의 내수 가격 상승에 영향 미칠 전망 * 중국 정부는 2026년부터 시작되는 15차 5개년 규획에서 철강산업 구조조정 추진할 가능성 높으며, 올해 하반기 관련 정책 발표 예상됨 |
유진투자증권 | 철강금속 | 뜨거워지는 철강금속 | * 미국과 중국의 무역 장벽 강화, 중국 철강 구조조정, 미국 제조업 내재화 등 거시적 변화로 철강금속 시장이 재편 중임 * 중국의 철강 감산 계획으로 2024년 조강 생산량이 약 5,000만 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 철강업체의 수익성에 영향이 예상됨 * 알래스카 LNG 사업으로 64조 원 규모의 철강재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나, 미국 내 철강업체들의 생산 능력도 고려해야 함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투자분석 리포트 - 2025. 3. 10.(월) (1) | 2025.03.10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종목분석 리포트 - 2025. 3. 10.(월) (0) | 2025.03.10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3. 10.(월) (0) | 2025.03.10 |
(뉴스 요약 - 주식 정보) 많이 본 뉴스 - 2025. 3. 10.(월) (1) | 2025.03.10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종목분석 리포트 - 2025. 3. 7.(금) (2)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