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투자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주식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리포트 제목 | 요약내용 |
키움증권 | 03/10 Commodity Weekly | * S&P GSCI 에너지 지수는 2.47% 하락, 원유 공급 과잉 우려와 미국 원유 재고 증가로 유가 하락 압박을 받음 * 금과 은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 수요 증가로 상승, 금은 특히 높은 상승폭을 기록 * 중국 제조업 경제지표 호조와 정부의 부양책 발표로 비철금속 수요 기대가 높아지며, S&P GSCI 산업금속 지수는 4.11% 상승 |
키움증권 | 03/10 KIWOOM ESG Weekly | * 중국은 탄소배출권 시장의 정비를 진행하며, 2025년까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업종을 추가하여 배출권 대상 산업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함 * 자발적 탄소배출권(CCER)의 첫 발행이 완료되었으며, 해상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통해 감축된 배출량을 기반으로 발행된 탄소배출권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적용 대상을 완화하기로 하였으며, 이는 기업 부담을 완화하여 국제 산업 내 경쟁력을 고려한 정책 조정의 일환임 |
키움증권 | 03/10 달러, 고용 부진에 하락 | * 달러화는 미국 2월 고용보고서 부진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 확산으로 하락, 유로화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임 * 국제유가는 미국의 러시아 제재 가능성과 공급 불안에 의해 상승, 그러나 금은 미국 경기에 대한 낙관적 전망으로 하락 * 미국 국채금리는 고용보고서 발표 후 하락했으나, 파월 연준 의장 발언으로 상승 전환, 단기 금리가 중심으로 상승압력 높아짐 |
키움증권 | 03/10, Kiwoom Weekly_Low is good, 인플레 민감 장세로 이동 | *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 반등, 관세 뉴스플로우, 중국 양회 영향으로 업종 간 차별화 장세 예상됨 * 2월 CPI 발표와 기대인플레이션 지표에 따라 인플레 민감 장세로 전환, 물가 이벤트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클 것으로 전망 *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불확실성,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관세 수위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 있음 |
DS투자증권 | DS Quant Check 03/10(월) -기대한 만큼 대체거래소가 대체할 것 | * 대체거래소는 투자자들의 기대에 따라 활성화가 결정되며, 정규장 이후 가격 반응을 대체거래소에서 나타날 가능성 있음 * 대체거래소의 영향력이 증가할 요소는 국내 기업들의 공시, 최선집행의무 이행, 해외와 연관된 종목들에 대한 반응이 될 수 있음 * 대체거래소 운영에 있어 시장관리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공매도 규제, 가격변동제한, ETF/ETN 거래 확대 등이 필요함 |
DS투자증권 | DS와 함께하는 Weekly TalkTalk Vol. 208 | * 미국은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 부과 계획을 발표하며, 중국 조선소에 대한 강제적 제재와 자발적 제재가 지속될 전망 * 농심은 신라면과 새우깡의 가격을 인상하며, 2분기 이후 글로벌 확대로 실적 개선이 기대됨 * EU는 자동차 산업 부흥을 위한 액션플랜을 발표하며, 한국 배터리 업체들은 유럽 내 CAPA 개선에 따른 실적 회복 기대됨 |
신한투자증권 | Shinhan China Weekly(3월 1주차) | * 중국 정부는 GDP 대비 재정적자비율을 4.0%로 상향하고, 특별국채와 지방정부채 발행을 통해 강력한 재정 지원을 예고함 * 중국의 정책 우선순위로 내수 확대가 강조되며, 소비재 산업에 3,000억 위안 배정, AI 및 전기차 등 전략산업 지원도 강화될 전망 * 중국 주식시장에서 AI, 전기차,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주요 관심 종목으로 부각되며, E Fund AI ETF 등 AI 관련 ETF가 활발히 거래됨 |
신한투자증권 | Weekly Guide Book(2025/03/07) | * 미국과 비미국 주식시장이 디커플링 상태로, 미국의 위험 회피 및 경기 위축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함 * 중국은 5% 성장 목표를 유지하며 최대 규모의 재정지출 계획과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대규모 R&D 예산을 발표함 * 유럽은 재정 확대와 국방지출을 통해 경기 부양책을 강화하며, 독일은 재정준칙을 완화하고 5,000억 유로 규모의 인프라 펀드를 출시할 계획임 |
키움증권 | [#가상자산] 15. 미국 비트코인 전략 비축 서명과 서밋 개최 | * 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행정명령에 서명하였으며, 추가 비트코인 매입을 위한 예산안은 편성되지 않았음 * 가상자산 서밋에서 오퍼레이션 초크포인트 2.0 규제가 종료되었고,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이 8월 이전에 통과될 예정 *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이 체계적으로 정비되면서 대규모 매각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 |
IBK투자증권 | [IBKS Daily] Start with IBKS (2025.3.10) 美 2월 고용보고서 부진에도 파월 발언에 안도 | * 한국 증시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하락, KOSPI와 KOSDAQ 모두 하락 마감 * 미국 증시는 파월 연준 의장의 경제 낙관론 발언과 2월 고용 증가가 안도감을 줘 상승, 실업률은 4.1% 기록 * 중국 증시는 양회 부양책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디플레이션 우려와 물가 부진에 하락, 2월 소비자물가 지수 0.7% 하락 |
하나증권 | [Quant Comment] 국내외 주간 이익 동향 체크 | * 글로벌 기업 이익은 국방비 증가 영향으로 우주국방 및 도로철도 업종이 가장 큰 상향 조정을 보였으며,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부동산관리 업종도 상승 * 미국과 중국 이익 전망이 지속적으로 상향되었으며, 반도체·자동차·은행 업종이 실적 개선을 보이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모기지투자·전기장비 업종은 하향 조정됨 * 국내 코스피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64.8조원으로 1.4% 상향 조정되었으며, 방산·유틸리티·유통업종이 실적 상향, 화학·항공·건설업종이 하향 조정됨 |
하나증권 | [신흥국 전략] 베트남 증시, 신중한 접근 필요 | * 베트남 VN지수는 2월 24일 1,300선을 돌파하며 강세를 이어갔으며, 연초 대비 +4.4% 상승, 2024년 저점 대비 +17% 상승 * 2024년 베트남 GDP 성장률은 7.09%를 기록했으며, 정부는 2025년 성장 목표를 8%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며 경제 성장 가속화 추진 * 미국 관세 회피국으로 인식되며 중국 기업들의 공장 이전이 증가하고 있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 필요 |
대신증권 | [주간 퀀틴전시 플랜] 중요 변곡점에서 Game Changer : 미국 물가, 국내 정치 리스크 | * KOSPI는 2,500선 초반에서 지지력을 확보하고 상승국면을 준비 중임 * 미국 경제는 과열 후 정상화되고 있으며, 물가안정과 정치적 리스크 해소가 시장 회복의 계기가 될 전망임 * 중국 정부는 내수 부양과 소비 촉진을 위한 대규모 재정 확장을 발표하고, 기술 혁신과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할 예정임 |
DS투자증권 | 격화되는 각자도생 | * 미국의 우선주의 강화로 유럽이 재정정책을 적극적으로 전환하며, 복지 중심에서 투자 확대로 방향을 바꾸는 중임 * 중국은 미국과의 경쟁 심화로 정부 지출을 늘려 투자를 확대하며, 저성장 지속 가능성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음 * 글로벌 각국이 생존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자본지출을 늘리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동성 증가로 산업재와 소재 등 시크리컬 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됨 |
KB증권 |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에도 변동성 제한 전망 |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 무역 분쟁 우려가 커졌으나, 국내 증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임 * 관세 유예 결정이 발표되었으나, 불확실성 지속으로 인해 증시에서는 피로감이 누적되었고 일부 업종은 강세를 보임 *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주요 지표들이 이미 변동성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에서는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
대신증권 | 일본 마켓 레이더 Weekly | * BOJ 금리 인상 가능성 높음, 일본 정부의 임금 상승 모멘텀과 물가 상승률을 고려할 때 3월 금리 인상이 예상됨 * 일본 1월 산업생산 -1.1%,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시장 예상치를 하회, 일본 경제의 불확실성 확대 *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 관세 부과 및 불확실성, 일본 경제 및 증시에는 단기적인 영향 있음, 통상정책 불확실성 증가 |
하나증권 | 중국 1등주 포트폴리오 | * 징동, 4Q24 매출 3470억 위안, 전자기기/가전 부문 고성장, 실적 회복 및 향후 자사주 매입 지속 계획 * BYD, 2월 전기차 판매 32.2만대 기록, 해외 판매 호조로 글로벌 전략 효과, 유상증자 통해 자금 확보 * 샤오미, SU7 Ultra 출시 후 2시간 만에 1만대 예약, 자율주행 시스템 HAD 제공, 전기차 시장 확장 중 |
하나증권 | 화수분전략 | * 미국 경기모멘텀 약화로 인해 시중금리와 주식시장이 동반 하락 중이며, 물가지표의 하락이 시중금리 하락과 지수 상승을 촉진할 가능성 있음 * S&P500 지수 시가총액 상위 기업 중 2025년 순이익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브로드컴과 애브비로, 이익 규모가 크고 PER이 높지 않음 * 국내 증시에서 하이퀄리티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FCF 증가와 PBR 하락이 두드러지는 헬스케어, 자동차, 지주, 건설 업종에 관심을 둘 필요 있음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3. 11.(화) (0) | 2025.03.11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3. 11.(화) (0) | 2025.03.11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종목분석 리포트 - 2025. 3. 10.(월) (0) | 2025.03.10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3. 10.(월) (0) | 2025.03.10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3. 10.(월)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