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증권 리서치에 등록된 증권사 리포트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는 산업동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매일매일 업데이트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이버 금융에서 리서치에서 올라온 산업분석 리포트를 요약정리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함께 최신 산업동향을 확인해보세요.
다만, 증권사에서 저작권 문제로 내용 삭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은 즉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 산업 | 리포트 제목 | 요약내용 |
iM증권 | 해운 | 해운 선사는 트럼프가 밉다 | *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전체 해상 물동량 중 약 3.7%, 톤-마일 기준 4.3%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국향 수출 품목이 많은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가 클 것으로 보임 * USTR의 중국 조선업 제재가 시행될 경우, 컨테이너와 PCC 선사들은 기항당 수백만 달러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며, 이는 운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나 선사 간 피해 규모는 중국산 선박 비중에 따라 상이함 * PCC는 공급 증가와 중국 자동차 수출 둔화로 운임 하락 압력을 받고 있으며, 글로벌 선복량의 급증에도 수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시장 약세 지속 가능성이 존재함 |
한화투자증권 | 항공운송 | 나비효과 셋 | * 팬데믹 이후 항공 수요 급증에 따라 정비 과부하 발생, 국내 항공사들은 정비 인력 확충과 MRO 내재화를 추진하며 대한항공은 신엔진 정비공장 및 예지정비 시스템 개발 중임 * 트럼프 2기 출범과 De Minimis 폐지로 중국발 저가 이커머스 물량 감소 전망, 대한항공은 공급 조절과 장기 화주 계약으로 운임 하락 방어 전략을 실행 중임 * 아시아나항공 인수로 단기적 비용 증가와 운임 제한 문제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규모의 경제 실현과 외형 성장 기반 마련 가능성이 높아짐 |
유진투자증권 | 철강금속 | Living in a material world | * 미국의 상호관세에서 철강·알루미늄·구리 등 핵심 광물은 제외되었으며, 우리나라 대미 철강 수출량은 미국 통계 기준 증가했지만 한국 통계상 감소하여 실적 확인 필요성이 존재함 * 중국은 갈륨, 게르마늄, 흑연 등 전략 금속 수출을 제한하고 있으며 미국 제재에 맞서 사마륨, 터븀 등 중희토류까지 통제 대상을 확대하며 금속 공급망을 통한 패권 경쟁을 강화 중임 * 한국 정부는 중국산 후판에 27.91~38.02%의 덤핑 관세를 잠정 부과했으며, 일본산 열연과 형강, 도금강판 등도 추가 조사 예정으로 국내 철강업체의 가격 결정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 |
iM증권 | 철강금속 | Steel Weekly (4월 1주차) | * 미·중 갈등 격화 및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철강 업종 주가 하락 압력 커짐, 중국은 청명절 연휴로 낙폭 제한되었으나 전반적인 반등 가능성은 낮음 * 아연 Benchmark TC는 전년 대비 52% 하락한 톤당 80달러로 합의되며 고려아연의 본사 영업이익은 약 5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 * 현대제철 인천 철근공장 비가동 발표 후 철근 유통가격 2주 연속 반등, 국내 철강사들의 가격 인상 시도는 이어지나 성공 여부는 미지수임 |
하나증권 | 철강금속 | 미국의 보편관세와 상호관세 부과 영향 | * 트럼프의 10% 보편관세 및 25% 상호관세 부과 조치로 철강 수요산업 중 자동차·가전 업종의 미국 수출 차질이 국내 철강 수요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존재함 * 한국 철강은 기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이미 관세가 적용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인한 추가 피해는 없으나, 자동차·가전 등 전방산업의 수출 감소는 수요 둔화로 이어질 수 있음 * 전기동, 아연, 니켈 등 주요 비철금속 가격이 관세 이슈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급락하였으며, 국내 철강기업 주가도 대부분 6% 이상 하락하여 투자 심리 위축이 반영됨 |
SK증권 | 조선 | 한수위: 미국 눈치 보기 시작한 글로벌 선주들 | * 미국의 항만 수수료 부과 우려에 따라 Capital Maritime 등 글로벌 선주들이 한국 조선소에 18.1억달러 규모 선박을 대거 발주하며 전략적 발주 행보를 보이고 있음 * 중국산 선박에 대한 제재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양밍해운, 마리나키스 등 선주들이 한국 조선 3사를 포함한 비중국 조선소에 집중하며 선박 발주처 다변화 시도 중임 * 신조선가지수는 소폭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도 한국 조선소 수주 단가는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 실적은 예상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이어지고 있음 |
키움증권 | 제약 | 간과할 수 없는 F DA 구조조정 의 여파 | * 트럼프 행정부 구조조정으로 FDA 인력 3,500명 감축되며 신약 심사 지연과 승인 가능성 저하 우려, 희귀질환 및 복합제 승인 특히 위축될 가능성 존재함 * 신약정책실 등 FDA 내부 조직 해체로 신속 승인 및 임상 보류 관련 정책 지원 약화, 주요 부서가 직무대행 체제에 머무르며 새로운 정책 추진 여력 부족함 * 제약·바이오 제품은 관세 제외 대상이나 별도 관세 도입 가능성 존재, 관세→인플레이션→고금리 우려로 투자심리 위축되었으며 정책 불확실성 해소 시 반등 기대됨 |
하나증권 | 전기전자 | 1분기 실적 시즌 진입. 전분기대비 흐름을 확인하자 | *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인해 전기전자 대형주의 주가가 급락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단가 압박과 수익성 우려로 10% 이상 하락함 * 1분기 실적은 관세 영향 이전 물량 이동 효과로 대체로 양호할 것으로 보이며, 관세 부과 이후인 2분기 실적이 펀더멘털의 현실적인 기준점이 될 것으로 판단됨 * 삼성전기는 AI 및 전장 중심 수요에 따른 믹스 개선이 이어지고 있으며, MLCC 주력 사업의 안정성과 상대적 실적 가시성으로 최선호주로 제시되고 있음 |
iM증권 | 전기전자 | 관세가 IT H/W 업종에 미칠 영향 분석 | * 미국 스마트폰 수입액은 515억달러이며, 중국이 81%로 대부분을 차지해 고관세 부과 시 수요 위축 가능성이 커지고, 컴퓨터·TV도 유사한 구조로 영향 예상됨 * Apple은 미국향 매출 비중이 높고 생산 대부분이 중국에서 이뤄져 관세 부담이 크며, 삼성전자는 베트남 중심 생산 구조로 상대적 피해가 적을 수 있음 * LG전자와 삼성전기, LG이노텍 등도 직접 수출보다는 고객사의 가격 전가·수요 감소로 간접 영향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부품 가격 인하 압력 가능성 존재함 |
대신증권 | 자동차 | 역발상을 해볼법한 밸류(1Q25 Preview) | * 1Q25 기준 현대차는 97만대, 기아는 75만대의 글로벌 도매 판매를 기록하며 설 연휴 비수기에도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보였음 * 미국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이익 타격은 불가피하지만, 현대차는 메타플랜트 등 현지 생산 확대 및 GM과의 협력으로 대응 계획 수립 중임 * 국내 자동차 업종의 12개월 선행 PER은 4배 이하 수준으로 저평가되어 있으며, 종목별 이벤트 기반 선별 전략이 필요한 시점임 |
유진투자증권 | 자동차 | 유럽 3월 전기차 판매 2년만에 최고치 | * 유럽 3월 전기차 판매는 약 35만대로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독일 45%, 영국 42%, 스페인 183% 등 주요국 판매 증가세 뚜렷함 * 독일은 연정 구성 이후 보조금 재도입 가능성이 높고, EU는 기업용 차량 전동화 법제화를 추진하며 시장 성장을 촉진할 계획임 * 미국 시장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유럽 전기차 수요 회복과 배터리 산업 지원 정책이 K 전기차/배터리의 중장기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임 |
유진투자증권 | 자동차 | 현대차/기아 3월 글로벌 판매 | * 현대차는 3월 글로벌 도매 판매 36만6,000대로 전년 대비 2.0% 감소했으며, 중국 판매 급감이 주요 요인이며, 내수에서는 신형 팰리세이드와 아이오닉 9 효과로 증가함 * 기아는 3월 글로벌 도매 판매 27만2,000대 기록해 전년 대비 0.2% 증가했으며, 인도 시장에서 신형 SUV 시로스의 판매 호조로 성장했지만 미국과 유럽 판매는 감소함 * 현대차와 기아의 3월 친환경차 글로벌 판매는 각각 8만3,579대(+32.6%), 6만8,240대(+18.1%)를 기록하며 전기차 및 HEV 판매 증가가 뚜렷했으나 PHEV는 기아에서 감소세 나타남 |
하나증권 | 음식료 | 3월 수출 Re + 관세 영향 점검 | * 3월 라면 수출액은 전년동월대비 25.8% 증가한 1억1,527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김과 라이신 수출액도 각각 9,970만 달러, 2,174만 달러로 전년보다 큰 폭의 증가세를 보임 * 미국의 상호관세 25% 부과 조치로 인해 삼양식품은 단기 가격경쟁력 저하 우려가 있으나, 현지 생산기지를 보유한 농심·CJ제일제당 등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됨 * SPC삼립은 ‘크보빵’ 판매 호조로 주간 주가가 18.2% 상승했으며, 빙그레와 현대그린푸드도 저가 매수 유입으로 각각 5.8%, 4.8% 상승하여 업종 내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임 |
하나증권 | 음식료 | 주류 시장 업데이트 | * 오비맥주가 카스, 한맥 등 출고가를 평균 2.9% 인상한 가운데, 하이트진로도 동일 인상 시 손익이 5% 내외 증가할 수 있으나, 1분기 실적은 총수요 부진으로 기대감 낮아짐 * 하이트진로는 맥주 부문 출고량 감소로 영업이익이 YoY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주 부문은 진로 판매 호조로 손익은 전년 수준 유지될 전망임 * 롯데칠성은 음료 부문 매출 YoY -3% 감소, 주류 부문도 부진 지속되며 신제품 ‘크러쉬’ 기여도도 줄어 1분기 실적 하락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 |
키움증권 | 음식료 | 키움 음식료 Weekly (4/7) | * 3월 소비자물가는 전기, 가스, 수도, 서비스 요금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고, 생활물가지수는 2.4% 증가해 체감 물가도 높아지는 흐름임 * 한국산 식품에 부과된 26% 상호관세로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수출에 타격을 입은 반면, 오리온은 중국 법인 중심으로 5년 연속 매출 1조원을 넘기며 선방하고 있음 * 메가MGC커피는 10년 만에 일부 메뉴 가격을 인상하며 원두값 상승과 고환율 부담을 반영했고, 오비맥주의 가격 인상은 소비자단체로부터 타당성에 의문을 받고 있음 |
하나증권 | 은행 |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반영 중이지만... | *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 패닉이 발생했으며, JP모건은 세계 경기 침체 확률을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함 * 하나금융은 외국인 지분율이 67.1%로 높은 편이며, CET1 비율 개선 기대가 낮다는 점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BNK금융과 카카오뱅크도 각각 약 3.6%, 3.7% 하락함 * 신한지주, 하나금융, 우리금융의 2024년말 CET1 비율이 일부 소급 반영되며 소폭 상향되었지만, 이로 인해 1분기 비율 개선폭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됨 |
신한투자증권 | 은행 | 숨 고르기 구간 | * 1분기 예상 지배주주순이익은 4조7,102억원으로 전년 대비 8.7%, 전분기 대비 108.3% 증가하며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흐름을 보임 * 은행업종 밸류에이션은 여전히 매력적이나 관세 부과,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자사주 매입 등 개별 모멘텀에 주목해야 하는 구간임 * 2분기 실적 발표 시점이 주가 반등의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가 실적 및 비은행 부문 확대 기대감으로 Top Picks로 추천됨 |
하나증권 | 석유화학 | 관세 전쟁 속 상대적으로 유리한 선택지 | * 한화솔루션은 미국 내 8.4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어 동남아 우회 수입에 대한 고관세 부과 상황에서 반사 수혜가 가능함 * KCC는 미국 내 실리콘 매출 비중이 35% 이상이며 대부분 내수 위주이므로 관세 영향이 거의 없고, 주요 경쟁사는 관세 부과로 가격경쟁력 약화 예상됨 * 금호석유는 중국산 장갑에 대한 고율 관세로 말레이·태국산 수요가 확대되며, 국내 NBL 원재료를 공급하는 자사에 긍정적 수요 환경 조성됨 |
DS투자증권 | 반도체 | 관세 폭풍 속 Silver-lining 찾기 | * 반도체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IT 기기에는 최대 54%까지 고율 관세가 부과돼 수요 위축과 가격 인상 가능성이 커짐 * 고관세로 중국산 IT 기기의 글로벌 경쟁력 저하가 예상되며, 특히 가격 민감도가 높은 중국 시장에서 소비 심리 위축 가능성 존재함 * SK하이닉스는 HBM, 서버 DRAM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수요 위축 영향이 제한적인 반면, 삼성전자는 범용 메모리 의존도로 타격 가능성 큼 |
유진투자증권 | 반도체 | 관세의 다른 이름은 경제 전쟁 | *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와 중국의 맞대응으로 글로벌 무역갈등 심화되고 있으며, 반도체·의약품 등은 초기 제외됐지만 향후 부과 가능성 있어 불확실성 증가함 * DDR4를 중심으로 메모리 현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삼성전자 등 주요 업체들도 가격 인상 논의 중으로 2분기 실적 개선 가능성 높아지는 분위기임 * 관세가 강화될 경우 수요 위축과 상반기 중 쌓인 재고 부담이 맞물려 하반기에는 이중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어 메모리 업황에 대한 낙관론은 제한적임 |
iM증권 | 반도체 | 미국 관세 부과 영향 점검 | * 한국 반도체는 현재 미국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트럼프 정부가 개별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해 향후 25% 부과 가능성이 매우 높음 * 중국·베트남 등에서 생산된 IT Set에 한국 반도체가 포함될 경우 간접적인 피해 발생하며, 미국 수입업체는 관세 부담을 가격 전가 또는 부품 가격 인하로 대응할 가능성 존재 * 미국 고율 관세가 서버·스마트폰·PC Set 가격을 각각 25%, 4%, 11% 상승시킬 경우 반도체 가격은 8%, 1%, 4% 하락하고,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 매출은 총 4.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 |
유진투자증권 | 반도체 | 테크는 불확실성을 피할 수 없어 | * 미국 상호관세 시행을 앞두고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국내 반도체 소부장 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흐름임 * TSMC는 대만 가오슝에 2nm 생산 팹을 건설하며 향후 2.5조달러 규모 생산을 목표로 투자 확대를 이어가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 중임 * ISC는 베트남 사업장에 450억원을 투자해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고 있으며, 리벨리온은 일본 법인을 설립해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음 |
유진투자증권 | 바이오 | 2025.1Q 실적 시즌 관전 포인트 | * 바이오제약 업종은 4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이어지며 투자심리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2025년은 신약 개발과 R&D 성과가 실적으로 반영되는 초기 구간이며, 하반기에는 기술이전 활성화와 중소형 바이오텍의 마일스톤 수익 유입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됨 * 주가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펀더멘털 중심의 투자 전략이 요구되며, 유망 종목으로는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에스티팜 등이 제시됨 |
DS투자증권 | 미디어 | 크~ 보는 맛이 있네 | * 2025년 KBO 리그는 경기당 평균 관중 수가 1.7만명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해 또 한 번 역대급 흥행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 CJ ENM은 KBO 중계권 확보로 티빙 MAU가 개막 후 700만명까지 회복되며 계정 공유 제한, 웨이브 합병, 해외 진출과 맞물려 실적 개선 모멘텀 기대감 커지는 중임 * SPC삼립이 출시한 크보빵은 출시 3일 만에 100만개 판매를 기록하며 포켓몬빵보다 빠른 속도를 보였고, 이는 베이커리 사업부 실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 |
SK증권 | 기타 | Short-term pain, Long-term gain | * 전력기기 업종은 2025년 상반기 AI 인프라 기대감 약화로 PER이 22배에서 14배로 하락하며 투자심리 위축됨 * 2024년 국내 전력기기 업계의 CAPEX는 1.1조원으로 급증했으며, 수요가 공급보다 앞서고 있어 2026년부터 공급 확대가 본격화될 전망임 *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25% 관세가 적용되지만, 한국 기업은 현지 생산기지 확보와 공급자 우위 시장 덕분에 가격 전가가 가능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 |
신한투자증권 | 기타 | 고개 드는 인바운드 | * 3월 외인 카지노 3사 매출은 파라다이스 810억, GKL 415억, 롯데관광개발 325억원으로 반등세 보이며, 수도권 카지노 드랍액은 전년 대비 두자릿수 성장 추정됨 * 3분기부터 방한 중국 단체 관광객 대상 한시적 무비자 시행 예정으로 인바운드 회복 기대감 상승, 업황 중심의 종목 평가 필요성이 커지는 국면임 * 아웃바운드 수요는 부진 지속되었지만, 징검다리 휴일 기반 성수기와 중국향 수요 집중 전략으로 2분기 이후 실적 개선 가능성이 열려 있음 |
하나증권 | 기타 | 단기 매수 기회 | * 미국과 유럽 전기차 판매량이 3개월 연속 증가하며 BEV 중심 회복세가 확인되었고, 이탈리아·스페인 등에서 두 자릿수 이상 성장 지속됨 * 양극재 수출 중량 증가와 코발트·니켈 가격 상승에 따라 하반기 양극재 판가 상승 가능성이 제기되며, 메탈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 리스크는 해소된 상황임 * 미국 전기차 시장 내 한국 배터리 셀 메이커의 투자 매력이 부각되고 있으며, LGES와 삼성SDI의 단기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단기 매수 기회로 판단됨 |
하나증권 | 기타 | 아주 좋은 출발 | * 외국인 카지노 3사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1분기 실적 기록, 특히 GKL과 롯데관광개발이 각각 37%, 47% 증가하며 강세 흐름 유지됨 * 파라다이스는 중국인 VIP 드랍액 정체에도 불구하고 홀드율 상승으로 분기 최대 매출 달성, 장충동 호텔 신축 위해 5,500억원 차입 결정함 * 강원랜드는 드랍액 성장에도 전년 고홀드율 기저효과로 감익 예상되며, 카지노 규제 완화 이후 테이블·머신 수 확대 등 실적 개선 여지 존재함 |
유진투자증권 | 기타 | 중국 로봇 경쟁력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 | * 중국은 1,000조원 규모의 로봇 펀드 조성과 핵심 부품 내재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미국과 유럽의 기술 견제에도 자립 가능한 구조를 빠르게 갖춰가고 있음 * 중국 로봇기업 유니트리는 94개 촉각 센서를 갖춘 20자유도 손을 공개하고, 로봇개를 라이브 방송으로 2억원어치 완판하는 등 기술 상용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삼성전자 출신 인력의 로봇 기업 이직, 현대차 정의선 회장의 로봇 대규모 투입 계획 등 국내 기업들도 중국 중심의 시장 구도에 대응하며 관련 기술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음 |
유진투자증권 | 게임 | 3월 게임시장 Review | * 3월 모바일 게임 매출 상위권에 MMORPG 장르가 대거 진입했으며, 리니지M이 ‘홈커밍’ 업데이트로 월간 1위를 차지하고 RF 온라인 넥스트, 마비노기 모바일 등 신작들의 반등이 두드러짐 * 스팀 플랫폼에서는 몬스터 헌터 와일즈, 배틀그라운드 등이 동시접속자 수 신기록을 경신하며 4,100만 명을 돌파했고, 인디게임 스케줄 1은 스팀 매출 1위와 동접 41만 명을 기록해 주목받음 * 크래프톤의 ‘인조이’는 출시 당일 매출 1위와 동접자 수 8.7만 명을 달성하고 일주일 만에 100만 장을 돌파했으며, 고사양 요구와 얼리 액세스 비판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유저 평가를 유지 중임 |
IBK투자증권 | 게임 | [IBKS Daily] 인터넷/게임 | * 크래프톤 신작 '인조이'는 스팀 출시 후 1주일 만에 100만장 판매 돌파하며 북미·아시아 중심으로 인기 유지 중이고, 이용자 평점은 '매우 긍정적' 등급임 * 메타는 라마4 제품군 중 멀티모달 AI모델 ‘스카우트’와 ‘메버릭’을 공개했고, 각각 긴 문서 처리와 창작·대화에 최적화된 성능을 갖춘 것으로 설명됨 * 라마4는 이미지·음성·텍스트를 통합 처리하며 GPT-4.5, 제미나이 2.5프로 대비 성능은 미흡하나 기존 GPT-4o와 제미나이 2.0보다는 우수한 수준임 |
신한투자증권 | 건설 | 신한 건설 Weekly (4월 2주차) | * 건설업종 주가는 3월 마지막 주 KOSPI 대비 4.6% 아웃퍼폼하며 HDC현대산업개발 9%, 현대건설 3% 상승 등 일부 대형 건설사 중심으로 강세 흐름 보임 * 미국 상호관세 영향은 제한적이나 고금리 장기화 시 자금조달과 개발원가 상승이 시차를 두고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부동산 정책 변화에 주목 필요함 * 공공택지 리츠 전매 허용, 대조1구역 공사비 증액 합의 등 긍정 이슈와 함께 이화공영 기업회생 등 중소형 건설사 중심의 구조조정 움직임도 나타나는 중임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4. 7.(월) (3) | 2025.04.07 |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투자분석 리포트 - 2025. 4. 3.(목) (3) | 2025.04.04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종목분석 리포트 - 2025. 4. 3.(목) (1) | 2025.04.04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산업분석 리포트 - 2025. 4. 3.(목) (4) | 2025.04.03 |
(증권사 리서치 요약 - 주식 정보) 경제분석 리포트 - 2025. 4. 3.(목) (3) | 2025.04.03 |